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음악 섹션에 우리나라의 특색있는 레이블 몇 곳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할까 합니다. SM, YG, JYP등 아이돌과 거대 자본을 앞세워 대중에게 나서는 회사가 있는 반면, 몇몇 레이블들은 소속 뮤지션과 레이블만의 특징을 통해 몇몇 팬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죠. 아는 사람만 알지만, 모두가 알아도 좋은 레이블. 오늘은 윤종신 사단의 미스틱 89입니다.예전에 윤종신에 대한 기사를 쓰기도 했었는데요, 미스틱 89는 윤종신 사단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먼저, 미스틱89가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초기에 윤종신, 하림, 조정치, 이른바 신치림을 중심으로 하여 많이 알려져있었죠. 당시 TV의 예능프로그램에서 조정치, 하림이 윤종신의 음악노예라며 말하곤 했죠. 하지만 하림, 조정치는 윤종신의 음악노예라고 하기에는 놀라운 음악적 능력을 보여줘왔는데요, 특히 하림의 경우 정말 수많은 팬을 거느리고 있기도 합니다.신치림을 중심으로한 윤종신 사단은 슈퍼스타K의 멤버들을 영입하면서 본격적으로 그 발을 넓혀 갑니다. 장재인이 바로 그 첫번째였죠. 슈퍼스타K 이후 장재인은 다른 소속사에 몸담았었지만 미스틱89로 들어와서 더욱 활발한
안녕하세요. 오늘은 검정치마라는 밴드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검정치마. 사실 대중가요와 인디음악의 경계선이 언젠가부터 무너지기 시작했죠. 공중파 프로그램에 장기하와 얼굴들, 장미여관등의 인디밴드와 빈지노, 매드 클라운등 언더 힙합 뮤지션이 자연스럽게 등장한 것은 이러한 예를 보여줍니다. 물론 장기하와 얼굴들 만큼 인디밴드씬에서 강한 인상을 남기고 그 인상을 대중음악계에 퍼뜨린 밴드가 없지만, 그와는 대척점의 느낌으로 역시 인디씬과 대중 모두에게 호평을 받은 밴드가 바로 검정치마 입니다.2008년 정말 말그대로 혜성같이 등장한 검정치마. 그의 1집 201은 정말 대중과 평론가 모두에게 호평을 쓸어담았다고 표현할 정도로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검정치마는 사실상 원맨밴드라고 해도 무방합니다. 물론 1집 활동때는 고정세션과 활동했지만, 2집부터는 독자적으로 활동했기때문이죠. 검정치마는 조휴일이고, 조휴일이 검정치마인셈이죠. 1집 201의 음악은 복고적 사운드와 경쾌한 멜로디가 주된 코드였다면, 2011년 발매된 2집 Don't You Worry Baby (I'm only swimming)은 대중들의 감성을 잡기위해 노력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어쿠스틱 사운드와
안녕하세요. 오늘은 약간 마이너한 음악 장르에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바로 일렉트로니카 인데요, 일렉트로닉 음악으로 불리죠. 사실 음악의 장르 구분이란 무의미한 일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모든 현대 음악의 근원은 재즈에서 부터 시작되었고, 재즈 이전에는 세계 각 곳의 지역음악이 그 근원이라고 할 수 있죠. 하지만 일렉트로닉 음악에 대해 쉽게 설명하자면 "악기, 세션의 연주가 아닌 기기 및 믹싱을 통해 만든 음악"이라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굉장히 넓은 범위를 다루는 장르의 음악이죠. 오늘은 이 일렉트로닉 음악의 황제자리를 90년대부터 지키고 있는 다프트 펑크(Daft Punk)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프랑스 출신의 일렉트로닉 DJ 듀오 다프트 펑크는 기 마뉴엘 드 오맹 크리스토와 토마스 방갈테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실 이들의 본명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앞서 소개해 드렸던 프라이머리가 신비주의를 위해 박스헬멧을 썼었죠. 최근에는 대중에게 얼굴을 공개했구요. 하지만 데뷔한지 15년이 넘은 이 듀오는 단 한번도 대중에게 그들의 얼굴을 공개한 적이 없습니다. 물론 저스티스 (Justice)가 다프트 펑크와 동인 인물들이다 라는 강력한 루머가 돌긴 했지만
안녕하세요. 오늘은 약간은 무거운 주제와 뮤지션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사실 이 뮤지션을 요즘 같은 때에 소개해드리는 것조차도 굉장히 망설여지는데요, 민감하지 않게, 즐길수 있도록 풀어보고자 합니다.바로 프라이머리입니다.다이나믹듀오의 소속사로도 유명한 아메바 컬쳐의 프로듀서와 작곡가로 있는 프라이머리. 본명은 최동훈이죠. 한국에서 특정 프로듀서의 이름을 걸고 음반을 내는 뮤지션이나 앨범은 흔치 않았습니다.90년대 이후로 가장 대중적으로 성공한 프로듀서, 작곡가로 평가받는 유희열(토이), 실험적인 음악으로 대한민국 대중가요의 새로운 장을 이끈 정석원, 장호일(015B), 그리고 2000년대 들어서도 활발한 음악활동을 보여주는 윤종신 외에는 딱히 떠오르지 않죠. 보컬리스트가 아닌 작곡가, 프로듀서의 이름으로 음반을 내는 것은 쉽지않은 도전이기 때문입니다. 보컬리스트도 엄연한 뮤지션이지만 매체에 노출되고, 다양한 공연을 통해 팬층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또한 대중에게 직접적으로 음악을 전달하는 '목소리'의 소유자라는 점은 인지도 측면에서도 다가가기 쉬워지죠. 하지만 프로듀서나 작곡가의 경우 그들의 음악성, 음악으로 승부를 걸어야합니다. 예를들어 과연 토이의
안녕하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뮤지션은 오아시스(Oasis)입니다.사실, 이 밴드에 대해서 다루는 것은 굉장히 조심스러운 일입니다. 비틀즈 이후로 영국 최고의 락스타이며, 오아시스의 팬들은 국내에도 정말 많기 때문이죠. 하지만 저도 한 사람의 팬의 입장으로 오아시스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오아시스는 노엘 갤러거와 리암 갤러거 형제를 중심으로 결성된 밴드 입니다. 1991년 결성된 이 밴드는 공공연하게 자신들이 비틀즈를 영웅으로 삼고, 더 후, 롤링 스톤즈등 선배 밴드들의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1994년 발매된 1집 Definitely Maybe과 1995년 발매된2집 (What's the strory) Morning Glory는 오아시스를 영국뿐 아니라 당시 세계 음악계의 최고 스타로 만들게 됩니다. 오아시스를 이야기 할때 빼놓을 수 없는 밴드가 있죠. 바로 블러(Blur)입니다. 블러와 함께 브리티시 모던락을 이끌던 오아시스는 그들의 기이하고도 악동과 같은 행동으로도 유명합니다.형 노엘 갤러거와 동생 리암 갤러거는 정말 사이가 안좋기로 유명하죠. 방송 인터뷰에서도 서로를 욕하는 것은 일상이며, 그들이 맘에 들어하지 않는 모든 것들에 대해 서슴없이
옛날부터 해오던 생각이 있습니다. 해외뮤지션의 라이브 영상을 보면 멋진 카메라워크와 화질, 편집, 연출등 한편의 뮤직비디오를 보는 것처럼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몰입하게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국내 뮤지션의 라이브 영상은 단순히 방송 송출용에 그치지 않는 영상인 것 같아 굉장한 아쉬움을 가지게했었죠.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과 UCC문화의 확산등 다양한 조류를 타고 라이브 영상에도 새로운 장이 열리게되었습니다. Youtube와 Vimeo등 동영상 스트리밍 웹사이트를 중심으로한 라이브 영상의 업그레이드화에 당당하게 이름을 올린 국내 대기업의 영상 서비스가 있습니다. 바로 네이버 온스테이지입니다.사실, 시장구조의 논리가 많은 문제점을 보이는 요즘 세상에서 대기업의 서비스라고 하면 우선 그 품질과 서비스 측면에서는 믿음을 가질지 몰라도, 이용자는 심리적 거부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네이버 온스테이지는 시장논리를 역행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먼저 네이버 온스테이지는 720p, 1080p등의 고화질 HD 라이브 영상을 무료로 스트리밍합니다. 물론 자세하게 파고들면 네이버의 광고효과등은 이미 소비자에게 경제적 논리를 들이댄 것이지만, 스트리밍 자체는 무료이죠. 또
먼저, 오늘은 윤종신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안녕하세요. 이 글을 보시는 분들중 윤종신에 대해 모르는 분들은 없을 겁니다. 90년대 초, 중반 미성의 보이스로 가요계에 등장해서 많은 히트곡을 냈었고, 가요계 황금시대의 일원답게 싱어송라이터로서도 많은 작품활동을 했었죠. 또한 2000년대에 들어서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등 TV에서도 맹활약을 이어나가는 윤종신입니다.지금 대중들에겐 뮤지션 윤종신보다 예능인 윤종신으로서의 이미지가 강합니다. 사실 그의 방송감각은 정말 탁월합니다. 예능프로그램의 MC나 출연자로서의 윤종신은 개그맨들이나 예능인들에게 뒤떨어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죠. 저도 예능인 윤종신의 굉장한 팬입니다.하지만, 먼 훗날 그를 예능인으로 기억하기엔 그의 작품활동이 너무나도 강한 빛을 발할 것입니다. 이유는 90년대 그의 음악도 있지만, 최근 몇 년전 부터 지속해온 프로젝트 월간 윤종신때문입니다.월간 윤종신은 2010년부터 시작된 그의 프로젝트입니다. 월간 윤종신의 모토는 월간 정기물처럼 한 달에 한 작품씩 발표하는 것입니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는 그의 새로운 음악을 기존의 뮤지션들과 공동작업을 하여 발표했고, 올해 진행중인 2013년의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정말 좋아하는 앨범을 한장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바로 The Flaming Lips의 Yoshimi Battles the Pink Robots입니다.먼저 아티스트인 The Flaming Lips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프론트맨인 웨인 코인과 마이클 아이빈스, 스티븐 드로드로 구성된 밴드 The Flaming Lips. 오클라호마 출신의 3인조 밴드The Flaming Lips는 유명한 밴드가 아니였습니다. 인디밴드였지만 그들의 음악적 색깔이 독특하다는 이유로 주목받는 정도였죠. 하지만 2002년에 발매된 앨범 Yoshimi Battles The Pink Robots로 인해 톱 밴드의 반열에 들어서게 됩니다.The Flaming Lips는 이 앨범이후로 사이키델릭 락의 최고의 밴드로 인정받기도 했죠.The Flaming Lips의 라이브 공연은 그들의 음악처럼 키치스럽고 몽환적입니다. 연주자와 세션들에게 동물분장을 시키거나, 공연장에 수천개의 풍선을 뿌려놓는 등, 보는 공연을 만들어주죠.Yoshimi Battles The Pink Robots의 이야기로 돌아가겠습니다.The Flaming Lips는 1994년 롤라팔루자 페스티벌에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미로콰이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자미로콰이는 이미 국내에도 잘 알려진 뮤지션입니다. 자미로콰이의 프론트맨은 보컬인 제이슨 케이(Jason Kay)입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Jay-Kay라고 불리우는 그의 트레이드 마크는 거대한 인디언 모자입니다. 우선, 팀의 이름 자미로콰이(Jamiroquai)는 음악의 잼을 뜻하는 jam과 아메리카의 인디언인 iroquai의 합성어입니다. 영국에 기반을 둔 자미로콰이는 1992년부터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그들의 음악은 일렉트로니카, 소울, 락, 펑크락, 디스코, 댄스, 팝등 정말 다양한 장르를 보여줍니다. 특히, 1990년대 초반 영국을 중심으로 유행했던 애시드 재즈 (Acid-Jazz)의 중심 밴드이기도 했죠. 애시드 재즈는 소울, 디스코, 펑크, 재즈 등을 절묘하게 조합한 장르를 의미합니다.먼저 들려드릴 곡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음악, Canned heat입니다.다음은 그의 음악중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지고, 유명한 Virtual insanity입니다.다음은 Space cowboy입니다.그리고, 라이브 영상보다는 귀여운 뮤직비디오가 훨씬 인상적인, Don't give hate a chance를 끝으로
보컬 이원석, 기타 정유종, 베이스 김선일 그리고 키보드에 김장원으로 구성된 밴드 데이브레이크는 2007년 데뷔한 이래 특유의 밝은 팝성향의 롹과 재기넘치는 무대매너 그리고 보컬을 비롯해 연주하는 멤버 전원의 출중한 실력으로 꾸준히 팬층을 확보해왔습니다. 아이돌들의 후크송에 비견될 정도로 강력한 중독성을 지닌 히트곡 '좋다', '들었다놨다'등의 곡들이 많은 사랑을 받으며 인지도를 넓혀갔고, 최근에는 '밴드의 시대' '불후의 명곡' '탑밴드'등의 방송에 활발히 출연하고 그 무대에서 엄청난 편곡 능력과 라이브 능력을 선보여 더욱더 큰 인지도를 가지게 됐습니다. 최근에는 인디로서는 정말 꿈의 무대라 할 수있는 올림픽홀에서 단독 콘서트까지 성황리에 마쳤죠. 그야말로 핫한 밴드라 할 수 있는 데이브레이크의 음악을 감상해보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