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이 오는 9월 7일(일)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리는 ‘제16회 Seoul Implant Dentistry 2025’(SID 2025)의 강연 프리뷰 2탄을 공개했다. 이번에는 Insight Session과 Learn with evertis experts가 주 무대다. ‘Seoul Implant Dentistry: Details Meet Insight’를 주제로 한 SID 2025는 세밀한 술식과 근거 중심 임상 판단을 강조하며, 임상가들이 놓치기 쉬운 포인트를 집중 조명한다. 'Insight Session'에서는 난도 높은 주제가 다뤄진다. 김도영 원장(김앤전치과)은 숏 임플란트와 Ever Guide KIT의 장점을 소개하며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임플란트’를 주제로 강연한다. 유상준 교수(조선대치과병원)와 박진영 교수(연세대치과병원)는 ‘Tailored GBR’를 통해 최소 침습·최대 안정성의 골증강 접근을 제시한다. 성무경 원장(목동부부치과)·이태희 원장·최용관 원장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의 전략적 발치와 보존 기준을 사례와 함께 조명한다. 'Learn with evertis experts'는 임상 현장에서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해외와 국내를 잇는 임상·교육 활동을 잇따라 전개하며 디지털 덴티스트리와 임플란트 치료계획 분야에서 전문성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8일 태국 방콕 Centara Grand에서 열린 ‘DENTIS MEETING’에는 태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 치과 의료 전문가 160여 명이 참석했다. 연자들은 임플란트 및 보철 분야의 최신 임상 혁신과 디지털 덴티스트리 트렌드를 주제로 다양한 증례와 노하우를 공유하며 호응을 얻었다. 현장에는 ▲루비스체어 ▲SQ 임플란트 ▲ChecQ ▲OVIS 등 덴티스의 주력 제품군도 함께 전시됐다. 특히 올해 행사는 덴티스 태국 법인이 직접 주관해 해외 법인의 안정적 정착과 동남아 시장 확대 전략을 보여주는 계기가 됐다. 이어 국내에서는 9~10일 덴티스 서울 문정 캠퍼스에서 ‘부분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치료계획’을 주제로 세미나가 열렸다. 연자로 나선 조용석김세웅치과 김세웅 원장은 다수의 임상 케이스를 통해 ‘8가지 기본 원칙’에 기반한 치료계획 수립과 환자 소통, 상황별 대처 전략을 제시했다. 첫째 날에는 치료 여부 판단, 보철물 교체 검토, 의도적 발치 적응증 등 기초 원칙을, 둘째 날에는 문제 해결 전략과
오스템임플란트(대표 김해성)가 오는 9월 ‘디지털 마스터코스’를 개설한다. 치과와 디지털 기술 융합이 본격화되는 흐름 속에서 임상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체계적으로 다루는 프로그램이다. 강의는 9월 6일, 7일, 20일, 21일, 27일 등 총 5일간 오스템임플란트 서울 연수센터에서 진행되며, 연자로는 디지털 허브치과 천세영 원장이 나선다. 커리큘럼은 스캔·디자인·가이드 제작·보철·수술 등 디지털 덴티스트리 전 과정을 아우르며, 이론과 실습을 병행해 임상 적용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Trios를 활용한 스캔, Implant Studio 기반의 가이드 디자인, OneGuide kit 식립 실습, Dental System을 통한 보철 디자인 및 3D프린터 출력까지 직접 경험할 수 있는 Hands-on 과정도 포함됐다. 오스템 관계자는 “치과 원장들의 디지털 장비 도입 및 활용 니즈를 반영해 커리큘럼을 구성했다”며 “디지털을 어렵게 느끼던 임상가들이 직접 체험하며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주)신흥이 오는 9월 7일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될 글로벌 임플란트 심포지엄 'SID 2025'의 보철·수술 세션 주요 강연 내용을 공개했다. (주)신흥은 ‘Seoul Implant Dentistry: Details Meet Insight’를 대주제로 열릴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임플란트 진료의 세밀한 기술과 임상적 통찰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인데, 15~20분 분량의 ‘Learn with evertis Experts’부터 고난도 증례 중심의 Insight Session까지 실제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최신지견과 실질적인 진료 전략이 공유될 전망. 먼저 ‘Need assembles wisdom’ 세션에선 ▲방주혁 교수(중앙보훈병원)가 부분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보철 수복에서 치료계획 수립, 교합 고경 설정, 무치악 부위 식립 위치 결정 등 계획 단계 핵심 포인트를 제시한다. 이어 ▲서재민 교수(전북대치과병원)가 기공물 전달 전 반드시 점검해야 할 요소를 다양한 증례와 함께 설명하고, ▲이양진 교수(분당서울대병원)는 전치부 과개교합의 원인을 분석해 후천적 상황에서 수직고경과 교합을 개선하는 방안을 소개한다. 또 ‘
임플란트 판매량 세계 1위 기업 오스템임플란트(대표이사 김해성)가 치과대학 학생들의 임플란트 및 디지털 최신교육을 지원하는 '치과대학 externship 교육’을 강화, 운영중이다. '치과대학 Externship'은 역량 있는 미래 치과의사 육성을 위해 지난 2021년 시작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오스템의 우수한 연자들을 통해 임플란트 이론 뿐만 아니라 실제 임상 환경과 유사한 공간에서 실습까지 함께 진행한다. 올해는 단국대, 경희대, 경북대에 이어 연세대와 서울대(교육 날짜순)가 이 교육에 동참할 예정인데, 각 대학 참가학생들은 1~2주 코스에 맞춰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수하게 된다. 이미 교육을 마친 단국, 경희, 경북대의 경우에서 보면, 학생들은 임플란트 시술에 필요한 이론 교육은 물론 표면처리, 인상채득, 수술 실습과 치과 개원의 이해 등 다양한 교육을 이수했다. 특히 OneGuide system, 디지털 장비 등 첨단 장비들을 체험할 수 있는 별도 시간을 마련하는 등 실전 임상에서의 적응력을 높이는 데 집중했다. 교육은 오스템임플란트 치의학연구원 조인호 원장과 황충주 원장, 김경원 원장, 조직재생연구원 김현만 원장 등 임상 경험이 풍부한 연자들이 직접
덴올의 논문 리뷰 프로그램 ‘저널인사이드’가 7월과 8월, 임플란트 치료 성공의 핵심 요소인 ‘표면(Surface)’과 ‘지대주(Abutment)’를 주제로 한 신규 영상 두 편을 공개했다. 7월 17일 업로드된 첫 번째 영상에서는 예스미르치과 김용진 원장이 연자로 참여해 오스템임플란트 BA(Hiossen NH) 표면의 임상적 유효성을 다룬 ‘Do the New Hydrophilic Surface Have Any Influence on Early Success Rate and Implant Stability during Osseointegration Period? Four-Month Preliminary Results from a Split-Mouth, Randomized Controlled Trial’ 논문을 소개했다. 연구는 Split-Mouth 무작위 대조시험 방식으로 친수성(NH) 표면과 기존 SA 표면 임플란트를 식립 직후부터 6주까지 주 단위로 안정성(ISQ) 변화를 비교했으며, 김 원장은 친수성 표면이 초기 실패를 줄이고 4주 로딩을 가능하게 하는 예지성 향상의 열쇠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8월 7일 공개된 두 번째 영상에서는 서울뿌리깊은치과
아이오바이오(대표 윤홍철)가 자사의 바이오형광 기반 치과 영상진단 AI 기술 ‘다중색채분석법(MCA: Multi-Chromatic Analysis)’에 대한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특허는 바이오형광 이미지를 색분석해 구강건강 상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및 시스템으로, 치과 진료에서 자동 분석을 통한 정밀 진단을 지원하는 핵심 기술이다. MCA는 기존 RGB 기반 형광 분석의 한계를 보완해 Lab Color Space 분석을 AI로 구동하며, 치아·잇몸을 자동 분리한 뒤 4억 개 이상 픽셀 데이터를 위험도별로 시각화하고 지표화한다. 이를 통해 치과의사가 병변을 조기에 인지하고 빠르게 치료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아이오바이오는 MCA를 자사 생체형광 구강검사 체계 ‘BLISS™’에 통합, 비방사선 방식의 정밀 검사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 계획을 동시에 지원토록 해 국내외 치과시장에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윤홍철 대표는 “정량화된 임상 근거를 제공하는 수준임을 공식 인정받았다”며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미백 분석 등 다양한 영역에서 조기 진단 서비스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치과 영상진단 AI 시장은 2025년 12억
㈜덴티스(대표 심기봉)의 신제품 임플란트 ‘AXEL(액셀)’이 출시 직후 임상 현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발치 후 즉시 식립(Immediate Placement)에 최적화된 설계와 강력한 초기 고정력, 심미성을 두루 갖춰 까다로운 케이스에서도 안정적인 식립이 가능하다는 점이 호응을 이끌고 있다. AXEL은 20년간 축적된 덴티스의 기술력과 임상 노하우를 바탕으로, 임상 자문진과 연구진이 수년간 개발해 완성한 제품이다. ▲Non-Thread 상단 구조 ‘Stress-Free Neck’은 식립 시 골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Cortical Bone을 장기간 보존해 연조직 형성과 심미적인 Gingival Line 구현에 기여한다. ▲‘Dynamic Bone Chip Groove’는 식립 과정에서 생성된 자가골을 임플란트 표면에 고정시켜 빠른 골유착과 강한 초기 결합력을 유도한다. 또한 Apex 부위의 4단 나사선 ‘Drive Thread™’는 초기 고정력과 식립 정밀도를 높이며, 일부 제품군에는 나사선 깊이를 1mm 이상 확대한 ‘Xread™’ 라인이 적용돼 해면골이나 골밀도가 낮은 부위에서도 안정적인 식립을 가능하게 한다. 제품 라인업은 직경
치과 종합포털 덴올이 2025년 하반기 ‘스탭세미나’를 실무 중심 콘텐츠로 개편해 방송 중이다. 이번 세미나는 전자차트 OneClick을 활용한 보험청구와 상담 효율화를 주제로, 7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1회 진행된다. 프로그램은 환자 데이터 분석, 청구 오류 최소화, 사보험 환자 대응, 상담 프로세스 등 치과 경영 전반의 행정·상담 역량 향상에 초점을 맞췄다. 전자차트를 사용 중인 치과는 물론 도입을 검토 중인 곳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실전 사례 위주로 구성됐다. 첫 회는 지난 7월 30일 치과건강보험연구소 박수민 이사가 ‘[OneClick 경영편] 데이터 활용한 우리 치과 환자 분석’을 주제로 문을 열었다. 이어 ▲8월 13·27일 정예영 교수(연세대 치위생학과) ▲9월 10·24일 이선옥 교수(원광보건대 치위생과) ▲10월 22일·11월 5일 박지현 경영과장(치유치과) ▲11월 19일·12월 3일 전아영 대표(말리언스컴퍼니) ▲12월 17·31일 홍선아 교수(울산과학대 치위생과) 등이 강연을 이어간다. 덴올 관계자는 “상반기 보험청구 시리즈가 큰 호응을 얻어 하반기에는 OneClick 활용법과 실무 노하우를 더욱 세부적으로 다루고 있다
㈜네오바이오텍(대표 허영구)이 8월 15~16일 도미니카공화국 푼타카나에서 북남미 치과의사 200여 명을 대상으로 ‘Zero Failure Concept: Immediate, Early, Anytime All on X Loading’ 글로벌 세미나를 연다. 허영구 원장을 비롯한 해외 연자 8명이 참여해 네오만의 독창적 콘셉트인 AnyTime Loading과 CMI Fixation을 중심으로 차세대 즉시로딩 임플란트 ‘ALX’와 주요 제품들의 우수성을 알리고,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의 실제 적용 사례와 성공 전략을 공유한다. ALX는 Narrow 코어와 Deep thread & wide pitch 설계를 통해 Self-compaction과 BIC(Bone to Implant Contact) 극대화를 구현했다. 여기에 Peri-implantitis로 인한 골 손실 예방 기능까지 더해져, 즉시로딩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한다는 평가다. 세미나는 오전·오후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첫날 오전에는 ▲CMI Fixation과 AnyTime Loading 전략(Dr. Manuel Feregrino) ▲구강암 환자 임플란트 적용 사례(Dr. Ryan Lee)가,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