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소개 정상적인 치과진료를 시행해도 다양한 합병증과 예상치 못한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잘잘못에 상관없이 일단 문제가 발생하면 치과의사는 관련 원인과 해결 방법 등을 환자들에게 잘 설명하고 해결해야 한다. 부적절하게 처리될 경우 의료분쟁은 불가피하며, 치과의사에게 불리한 판결이 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100명의 환자를 잘 진료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1명의 환자에서도 합병증이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그래서 대한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가 나섰다. 2005~2017년까지 발생한 임플란트 관련 의료분쟁 중 한국소비자원과 법원이 각각 학회로 자문을 의뢰해온 사례들을 모아 한권의 책으로 출간한 것. 치과이시임플란트학회는 이 책에서 각종 분쟁들의 유형과 특징들을 정리했고, 의료과실 성립이 이뤄지는 조건들, 의료소송 시 과실추론의 법칙에 대한 법조계의 입장, 꼭 알아야 할 대표적인 대법원 판결 등을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요약했다. 또 임플란트 진료와 연관해 빈번하게 발생하는 주요 분쟁 사례들을 ▲사건의 개요, ▲환자 측의 주장, ▲치과의사 측의 주장, ▲대학병원 신체감정서, ▲학회 자문 의견, ▲한국소비자원 임플란트 전문
라성호 원장(서울미소치과)의 '눈으로 배우는 근관치료3'는 개원의들이 근관치료 시 갈고 닦아야 할 부분들을 꼭 찝어 보여줍니다. 진단 및 치료계획에서부터 이후의 치료 과정을 풍부한 임상사진 · 방사선 사진과 함께 설명합니다. 구체적으로, 마취에서 버 선택과 사용, 파일링과 충전, 현미경을 이용한 근관치료, 근관충전, 코어와 리엔도까지.. 근관치료의 전과정을 다룹니다. 이 '눈으로 배우는 근관치료3'은 임상 뿐만 아니라 여러 선생님과의 핸즈온 과정에서 나온 자료들을 토대로 만들었습니다. 이후 개정을 거듭해 누구가 봐도 새로운, 최신내용으로 업데이트 했습니다. 그러므로 근관치료를 몰라도 상관없는 치과의사가 아니라면 한 권쯤 옆에 두어도 결코 해롭지 않을 책입니다. '눈으로 배우는 근관치료3'은 덴트포토 공동구매를 통해 구입이 가능하며, 온라인 서점에서도 살 수 있습니다. 라성호 원장(LSH033@DAUM.NET)은 2009년 덴트포토 어워드 수상자이며, 현재 근관치료 실습을 원하는 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엔도 핸즈온 세미나' 연자로 활동 중입니다. 세미나 접수는 덴트포토에서 온라인으로 가능합니다. <눈으로 배우는 근관치료3 / 라성호 著 / (주)악
구강외과전문의이자 만화가인 조성민 원장이 '드라큘라치과(메디킹)'라는 만화책을 최근 출간했다. 이 책은 400페이지 풀컬러로, 저자가 시나리오와 콘티, 작화 작업을 모두 직접 해냈다. 만화의 배경은 살아내기 팍팍한 현대 대한민국 서울의 드라큘라치과/상담소이며, 총 15화로 이루어져 있다. 각 화마다 현대 사회의 정신적 고민과 치과질환을 보유한 환자들이 내원하고, 원장이자 반인반드(반인간+반드라큘라)인 닥터 드라는 만화적인 재치와 치과 전문지식을 동원해 환자들의 고민을 만화스럽게 해결해주는데, 특히 ‘치과의사’ 중심 시각이 아닌 ‘환자’ 중심, ‘일반인’ 중심의 시각으로 스토리가 전개되는 점이 강점이다. 어린시절 장래희망이 만화가였던 조성민 원장은 14년 간의 임상경험에서 '치아 하나의 충치를 치료해봤자 치아 주인의 인식과 습관이 바뀌지 않으면 곧 또 다른 부위의 충치로 내원하게 되는, 악순환에 빠진 환자들에 안타까움을 느껴 이 만화를 그리기 시작했다'고 했다. 저자의 말을 직접 한번 들어보자. "이 만화책을 통해서 대중들이 치과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친근함을 느낄 수 있었으면 합니다. 충치와 잇몸병은 99%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지 않습니까? 교과서 수준의
■ 책 소개 치의학서 전문 출판 브랜드 ‘덴탈위즈덤’이 최신 보톡스 시술의 트렌드를 총망라한 ‘Atlas of Botulinum Toxin Therapy’를 출간했다. 이 책은 국내 보툴리눔 톡신 시술의 최고 권위자로 잘 알려진 김성택 교수(연세대치과병원 구강내과)가 2007년에 출간한 베스트셀러 ‘필러&BTX-A 아틀라스’에 이어 11년 만에 새롭게 출간한 도서로, 그동안 김 교수의 보톡스 지침서를 기다려온 많은 임상의들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번 ‘Atlas of Botulinum Toxin Therapy’는 현재 미국 FDA에서 보톡스의 새로운 적응증으로 허가 신청 중인 ‘최신 교근비대 주사법’과 ‘편두통 주사법’, ‘이갈이 주사법’ 등을 세밀한 해부 그림과 상세한 사진과 함께 정리했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첫 Chapter인 'History and Pharmacology of BoNT'에서부터 ▲BoNT for Masseter Muscle Hypertrophy ▲BoNT for managing Sleep Bruxism ▲BoNT for treatment of Headache ▲BoNT for treatment of Facial Asy
■ 책소개치과의사학교수협의회(회장 손우성) 소속 교수 14인이 공동 번역하고 대한나래출판사(대표 최용원)가 펴낸 ‘전문직 치과의사로의 긴 여정 - 치의학의 역사’이 지난달 4일 출간됐다.이 도서는 Philias Roy Garant의 ‘The Long climb from Barber-Surgeons to Doctor ofDental Surgery’를 번역한 것으로 치과임상과 치과학이 고대에서 중세,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유렵과 영국에서 아메리카대륙으로 넘어와 치과전문직으로 발전하는 과정의 명과 암을 다루고 있다. 이번 도서를 발간하며 손우성 회장은 “학생 때에도 배웠지만 인문학에 대해 느끼는 어려움 이라는 것이 ‘무엇을 가르쳐야 하나, 나는 제대로 가르치고 있는가?’에 대한 지침이 없었다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이 도서는 단순 기술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 ‘치과의사는 어떤 사람이었고,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며, 지금 치과의사는 어떤 모습인지, 미래의 치과의사는 어떠한 모습일지’를 진지하게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으로, 그 실마리를 역사에서 얻어 보고자 했다”며 도서에 대한 의미를 되새겼다.그는 이어 지금보다 열악한 시대에 치과의사학의 불시를 지켜온 기창덕, 이한
■ 책 소개최근 의치학사는 변화된 의료환경에 맞게 신설된 의료분쟁조정법 등을 담은 황충주 교수의 저서 ‘치과 의료사고와 분쟁의 예방 및 대책’ 개정판을 출간했다.초판은 2000년에 발간해 의료분쟁에 시달리던 치과의사들에게 많은 도움을 줬으며, 이번 개정판은 그동안 개정된 의료법을 비롯해 일명 신해철법(의료분쟁 조정절차 자동개시제도), 예강이법(진료기록 블랙박스법) 등 변화된 의료 환경에서 치과의사들이 숙지해야 할 주요사항을 정리해 담았다.이 도서는 △치과진료계약의 의의와 성질 △치과의사와 환자의 의무 △의료사고의 실태와 원인 △의료분쟁 관련 손해배상 범위 등 기본개념에서부터 △의료과실의 판단기준과 인과관계 인정기준 △민사조정?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나 한국의료분쟁조정중원을 통한 조정과정 등 분쟁 시 해결법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다.또한 치과의료와 관련된 진단서 작성 시 주의점, 소장, 준비서면, 양식 및 작성법 등을 상세히 다뤄 관련 지식이 부족한 의료인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황 교수는 이번 개정판을 준비하며 제자이자 현재 미국에서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는 한희경 변호사와 함께 챕터를 구성해 미국에서의 의료사고 사례와 처리절차 등을 개정판 안에 담아 해외
중앙치과 신덕재 원장이 '세월을 거슬러 간 여행'을 제목으로 수필집을 펴냈다. 소설집 '앙드레 사랑'과 산문집 '생활속의 흔적'에 이은 세번째 작품집이다. 신 원장은 이 책에 그동안 여기저기에 발표한 수필과 봉사후기, 여행기 등 40여편의 작품을 1부 '삶과 생활 속의 여정', 2부 '봉사와 나눔', 3부 '길 따라, 산 따라, 물 따라'로 분류해 사진과 함께 실었다.책 머리의 '작가의 말'에서 신 원장은 '산다는 것은 즐거움이기도 하고 고행이기도 하고 존재 가치의 현실이기도 하고 더불어 부대끼는 갈등과 소통이기고 하고 행복과 불행의 교차점이기도 하고 흥분과 실망의 징검다리'이기도 해서 '이 모습을 작은 테두리 안에 모두 넣는다는 것은 무리'라면서도 자신이 봉사와 여행을 통해 경험한 생활속의 에너지들이 책 속에 녹아 들어독자들에게 또 다른 감동과 희망을 줄 수 있기를 희망했다.신덕재 원장은 열린치과봉사회 회장, 대한치과의사문인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국제팬클럽한국본부 이사로 활동 중이다. 서포문학상과 한맥문학상 본상을 수상했다. 세월을 거슬러 간 여행 / 신덕재 著 / 신아출판사 刊 / 신국판 270p / 값 13,000원
■ 책소개덴틴에 '신아연의 공감'이라는 꼭지명으로 칼럼을 연재했던 신아연 작가가 두번째 소설 '강치의 바다'를 출간했다. 생명소설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연 이 소설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독도의 주인이었던 바다사자 강치의 비극을 그리고 있다. 한 때 독도를 새까맣게 덮을 정도로 번성했던 강치들은 일본 강치 사냥꾼들의 학살로 1950년대 중반 완전히 멸종하고 만다. 이 소설은 그 도륙의 현장에서 간신히 빠져나온 강치 한쌍이 호주의 씨월드에서 공연을 하며 지내다 아들 강치를 낳고, 그 아들 강치가 동물원을 벗어나 머나먼 고향 독도를 찾아 나서는 여정을 그리고 있다. 이 소설은 그런 강치를 주인공으로 인간의 잔인성과 생명의 존엄성을 그리는 동시에 인간의 탐욕으로 희생된 강치를 애도하는 뼈아픈 역사의 한 장면을 그려낸다. 다음은 소설 속의 한 장면.-붉은 바닷물이 명이네 보금자리로 밀려들어 온다. 걸쭉하고 탁한 붉은색과 비릿한 냄새에 알 수 없는 악취가 섞여 있다. 자신의 하얀 솜털을 휘감아 오는 끈적임에 명이는 진저리를 친다. 명이는 어느새 불그죽죽한 빛깔의 흉한 아기로 변했다. 동굴 입구로 검붉은 반점이 군데군데 섞인 허옇고 벌건 덩어리가 둥둥 떠내려간다. 냄새와 끈
■ 책 소개임필(NY필치과)원장과 심수영(심수영치과)원장이 일반 환자들을 위한 임플란트 대중서 ‘치과의사가 전하는 임플란트와 치아건강’을 출간했다. 이 책은 치과의사뿐만 아니라 환자 및 일반 대중에게 다가가는 도서라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큰 차이가 있다. 특히 건강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점점 높아지면서 치과치료 또한 어렵고 생소한 분야가 아니라 '건강과 밀접하게 관련된, 꼭 알아야 할 분야'라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일반인들의 치과 치료에 대한 기존의 편견을 깨고 구강 건강에 대한 자발적 관심을 유도하자는 데에 목적을 두고 펴낸 책이라 보면 된다. 책의 구성은 임플란트에 대한 기초 지식에서부터 임플란트 치료 후 구강관리법, 충치와 치아우식증의 발생 원리 및 예방, 치료법 그리고 치주병의 치료 등으로 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치과 질환인 충치와 잇몸병에 대한 필수 상식을 환자의 눈높이에서 알기 쉽게 설명한 것. 여기에 갈수록 시술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치과 임플란트를 심층적으로 다뤄 의료인이 아닌 대중들도 쉽게 임플란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특히 임플란트와 관련해 제1장에서 '임플란트는 과연 무엇이고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제2장에선 '임플란
■ 책 소개치의학서 전문 출판 브랜드 덴탈위즈덤이 '근관치료학'을 출간했다.‘근관치료학’은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 회원이자 여러 각 치과대학의 교수진이 함께 저서에 참여하여 근관치료의 대표 교과서로서 입지를 다져온 책으로, 국내 치과대학의 교수진이 머리를 맞대어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내용을 심사숙고하여 만든 책이다. 그동안 이뤄진 국내,외 수많은 연구와 발표, 그리고 이에 따른 근관치료학 분야의 변화와 사회적 요구를 담고 있어 더욱 새롭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데 최적화 된 도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책에는 총 22장의 주제로 챕터를 나누어 치수 및 치근단조직, 치주염, 치수형태와 근관와동, 근관치료에 사용되는 기구와 소독방법, 근관 성형, 근관 세척 및 소독, 근관 충전, 수복, 재생, 재식, 임플란트, 근관치료의 의료 분쟁 등 근관치료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 담았다. 특히 이번 새 발행본에서는 사진과 그래픽이 이전 버전보다 많이 개선되어 교과서적인 원리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웠던 내용들을 그림과 도해로 표현하였으며, 이는 학생들이 이전 보다 더 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각 챕터마다 심화학습란을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