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회장 김성균)가 지난달 22일부터 28일까지 일주일간 온라인을 통해 실시한 2022 특별강연회에 1300여 명의 치과의사들이 참여해 성황을 이뤘다. ‘임플란트 대부(Implant God father)’라는 컨셉으로 진행된 이번 특별강연회는 정성민, 박광범, 김기성 원장 등 대한민국 임플란트 대부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연자들의 특강형식으로 구성됐다. 웰치과 정성민 원장은 골량이 부족한 데다 심지어 하치조신경이나 다른 해부학적 구조물을 피해야 하는 어려운 수술 환경 속에서의 임플란트 식립시 Narrow Implant와 Short implant를 통한 예지성있고 안전한 임플란트 치료방법을 제시했다. 정 원장은 강연에서 '충분한 임상 데이터와 논문적 근거를 통해 narrow implant와 short implant의 치료계획은 이미 증거중심 치의학의 뒷받침을 받고 있다'고 설명하고, 다양한 케이스를 참가자들과 공유했다. 미르치과병원 박광범 원장은 '임플란트 식립시 다양한 골질에 대한 대처법'을 주제로 선택했다. 통상적으로 D1부터 D4까지로 나뉘는 골질은 방사선사진이나 CBCT 등으로도 정확하게 예측이 되지 않아 수술시 감에 의존해야하는
대한치과보철학회(회장 심준성) '제7회 틀니의 날' 기념식이 지난 1일 한국프레스센터 20층 프레스 클럽에서 열렸다. 보철학회 고문 및 임원들과 치과계 내외 인사들이 함께 한 이날 기념식은 곽재영 차기회장의 경과보고, 심준성 회장의 기념사 그리고 박태근 협회장, 김철환 대한치의학회장, 김우성 스마일재단 센터장, 신동우 GSK 컨슈머헬스케어 대표의 축사 순으로 진행됐다. 기념사에서 심준성 회장은 "틀니 임플란트 급여화의 성과에는 우리 학회가 30여년 전부터 일본의 보철보험을 조사연구하면서 쌓아온 역량과 준비가 기여한 바 적지 않다고 자신한다"면서 "앞으로도 임상역량을 강화하는 학술 활동은 물론 급여 항목의 범위와 대상이 새로 확대될 때마다 적극적으로 논의에 임하겠다"고 약속했다. 틀니의 날 캠페인을 총괄한 곽재영 차기회장도 "국민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학회의 노력이 한시적이지 않고 지속가능하도록 콘텐츠를 개발하고, 또 이를 알리는 방법에 대해서도 계속 연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진 시상식에선 보철 보험급여화 과정에 도움을 주고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최신아 과장이 표창패를, 25년 이상 해외의료봉사와 교도소 무료진료 등을 해온 박윤규 원장(창원 박윤규치과)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회장 김선종) 미용위원회(위원장 홍성옥)가 지난달 18일 강동경희대 치과대학병원 4층 차후영홀에서 3년만에 오프라인으로 턱얼굴미용연수회를 개최했다. 이날 연수회에는 80여명이 참가해 성황을 이뤘는데, 보톡스와 필러를 강의는 물론 라이브 시술에 핸즈온까지 다양하게 다뤄 참가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이날 강의는 최진영 교수(서울대)와 윤규식 원장(에버엠치과의원)이, 미용 시술 강의 및 핸즈온은 김희진 교수(연세대)와 권민수 원장(올소치과의원)이 맡았다.
대한치과보철학회(회장 심준성) '표준디지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찬회'가 지난 25일 마곡 오스템 AIC연수원 대강당에서 열렸다. 보철학회는 현재 여러 수련 교육기관에 디지털 진료환경을 구축하고 있으나 각기관 별 구성장비와 진료환경이 다양한 데다 교육 내용까지 서로 상이해 표준화 프로그램 개벌이 절실한 상황이다. 보철학회는 오는 8월 20일 치과보철과 2년차 전공의 58명을 대상으로 이론과 실습 핸즈온 교육을 계획하고 있는데, 이에 앞서 각 교육기관의 의견이 포함된 표준화 안을 구성하기 위해 거꾸로 학습학습(Flipped learning)’을 위한 연찬회를 가진 것. 총 5개 세션의 이번 연찬회에선 이소현(부산대), 박지만(서울대), 윤형인(서울대), 이현종(연세대), 박찬(전남대), 이정진(전북대), 김소연(경북대), 이기선(고려대), 김종은(연세대), 홍성진(경희대) 교수 등 10명이 강의와 핸즈온을 진행했고, 고문, 회장단, 상임이사, 교육지도의 등 총 40여 명이 참석해 전공의 디지털 교육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청취했다. 보철학회는 이날 연찬회를 통해 제기된 여러 의견들을 수렴, 오는 8월 2년차 전공의 대상 교육을 진행할 예정인데, 이론 강의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회장 정진우)가 오는 10월 제주도에서 열릴 창립 50주년 기념 종합학술대회 준비를 위해 지난 17일 서울역 인근 삼경교육센터에서 조직위원회 2차 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는 정진우 회장(서울대)과 안형준 학술대회조직위원장(연세대)을 비롯, 조직위원 20여명이 참석해 성공적인 학술대회 개최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온라인으로 열린 지난 1차 회의에선 대회 장소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로 정한 바 있는데, 이번 2차 회의에서는 3일간의 학술 프로그램 구성 및 국내외 연자 선정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위원들은 특히 이번 학술대회가 학회 창립 50주년을 기념하는 축제의 장이 될 수 있도록 가능한 많은 회원 · 비회원 치과의사들의 참가를 독려한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 하고, 학술 프로그램과 함께 숙박, 교통, 학회 등록비, 식사 등에 관해서도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했다. 이번 구강내과학회 창립 50주년 기념 종합학술대회는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한편 구강내과학회는 지난 18일엔 원광대학교 대전치과병원에서 전공의 학술집담회(전공의 교육)도 가졌다. 학회는 2007년부터 전국 11개 치대 구강내과
대한치의학회(회장 김철환)가 제정하고 (주)메가젠임플란트가 후원하는 MINEC학술상이 두번째 수상자 선정을 위한 후보자 접수마감을 앞두고 있다. 접수 시한은 오는 17일(금). 치의학회는 작년 첫 시행임에도 10명의 후보자가 지원한 만큼 이번에는 더욱 많은 후보자가 추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MINEC학술상은 디지털 치의학 연구자를 발굴, 후원하기 위해 제정된 상으로, 치협 인준 학회 및 치대·치전원이 후보를 추천할 수 있다. 제출서류는 추천기관 공문과 추천서 그리고 피추천자의 이력서와 업적·공적서 등이다. 박덕영 MINEC학술상 심사위원장은 “1회 때의 후보자 리스트를 확인해봤는데 당시 심사가 매우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된다"면서 "작년에 훌륭한 수상자를 낸 만큼 이번 2회 수상자도 심사위원들과 엄격한 절차를 통해 심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작년에는 연세치대 김종은 교수가 대상(상금 2천만원)을, 서울대치의학대학원 박지만 부교수가 금상(상금 1천만원)을 수상했었다. 이번 제2회 시상식은 오는 8월 27일 개최될 대한치의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종합학술대회 전야제에서 있을 예정.
조선대학교 교정학교실이 주관한 제41회 대한치과교정학회(회장 백승학) 전공의학술대회가 지난달 27일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이날 행사엔 전국 25개 치과교정과 수련기관에서 75명의 전속지도전문의와 139명의 전공의가 참석했는데, 이 가운데 44명의 3년차 전공의와 사우디 아라비아 전공의 1명, 대만교정학회에서 파견한 3명의 전공의 등 총 12세션 48개 연제가 발표됐다. 또 임중기 치과교정학회 윤리위원장이 윤리교육을, 임병서 사단법인 바른이봉사회 총무이사가 사업안내를, 원광대 강경화 교수가 수련기록부 작성법을 안내하는 등 학회의 여러 사업과 정책들을 전공의들에게 설명하기도 했다. 대회장을 맡은 임성훈 교수(조선대)는 "코로나로 인해 3번째 열리는 온라인 전공의학술대회가 성황리에 진행돼 기쁘다"면서 "온라인의 특성상 오프라인 행사 때보다 활발한 질의 응답을 통해 참석 전공의들의 학문적 성취가 충분히 이뤄졌길 기대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백승학 회장도 "어려운 여건속에서 훌륭하게 대회를 준비해 준 조선대학교 임성훈 교수 이하 여러 관계자들께 감사드린다"며, "오늘 발표에 나선 전공의 선생 모두에게 오늘 하루가 인생에서 가장 멋진 날로 기억되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KAOMI, 회장 김성균)가 6월 22일부터 28일까지 일주일간 온라인으로 2022 특별강연회를 개최한다. 영화 대부에서 모티브를 따온 ‘임플란트 대부(Implant Godfather)’를 컨셉으로 진행될 이번 특별강연회는 ㈜덴티움 임플란트의 정성민 원장과 ㈜메가젠 임플란트의 박광범 원장, 그리고 오랜동안 임플란트 보철학 연자로 이름을 알린 김기성 원장 등 대한민국 임플란트계의 대부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세 명 연자들의 특강형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강연회에서 웰치과 정성민 원장은 임플란트 식립시 부족한 골량에 대한 대처방법으로 'Narrow Implant와 Short implant'에 대해 강연한다. 정 원장은 '일반적으로 많은 임플란트 케이스들이 골량이 부족하고, 그와중에 신경이나 다른 해부학적 구조물을 피해서 식립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서 임플란트 종류의 선택을 통해 부족한 골량에 대응하는 방법을 설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르치과병원 박광범 원장은 '임플란트 식립시 골질이 부족한 경우 적절한 대처방법(부족한 골질 대처법)'을 주제를 선택했다. 박 원장은 '통상적으로 D1부터 D4까지로 나뉘는 골질은 방사선사진이나 CB
대한치과수면학회(회장 김명립) 2022년 춘계학술대회가 지난달 26일부터 5월 2일까지 ‘Personalized Management of OSA and Digital Health Care’를 주제로 개최됐다. 온라인으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해 추계학술대회에 이어 수면치의학에 입문하는 임상가를 위한 교육세션(Session I Basics in dental sleep medicine)은 물론, OSA 치료의 개인 맞춤화 전략 (Session II Personalized management of OSA)과 수면치의학의 디지털 헬스 접목을 위한 내용 (Session IV Sleep and digital health care) 등 총 4개 session, 10개 강의로 구성됐다. 특히 Session II에서는 최재갑 교수(경북치대 구강내과)가 '수면과 치의학'을 주제로 정년퇴임 기념 강의를 진행됐는데, '수면치의학을 연구하는 많은 후배 임상가와 연구자들에 귀감이 되는 좋은 강연'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학술대회에 이어 2일엔 정기총회도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이날 총회에선 초대회장인 정성창 교수(서울치대 구강내과 명예교수)의 업적을 기려 치과수면학 분야에서 뛰어난
국제임플란트학회(ITI, International Team for Implantology) 2022 연례총회가 지난달 2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특히 이번 총회에선 3개 지역(우크라이나, 태국, 베트남) ITI섹션의 설립이 발표돼 의미를 더했다. 이에 따라 전체 ITI섹션은 34개로 늘어났다. ITI 및 치과 임플란트 분야에서 오랜기간 공헌을 펠로우에게 시상하는 ITI 명예 펠로우쉽(ITI Honorary Fellowship)은 호주의 리사 하이츠-메이필드(Lisa Heitz-Mayfield)와 스위스의 프라우케 뮐러(Frauke Müller)가 차지했다. 영예의 두 여성 펠로우는 모두 ITI 이사회 위원과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올해 신설된 ITI 우수공로상(ITI Distinguished Achievement Award)은 호주의 앤서니 도슨(Anthony Dawson)과 미국의 스티븐 에커트(Steven Eckert)에게 돌아갔다. 이 상은 치과 임플란트 분야 중 특정 주제나 ITI 프로젝트에서 강력하고 지속적으로 기여한 전문가에게 수여되는 상. 앤서니 도슨은 임플란트 치의학의 ITI SAC Classification에 기여한 공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