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치과학교실(주임교수 국윤아)의 제13회 학술강연회에는 1천5백여명의 참가자가 몰리며 완성도 높은 학술행사임을 증명했다. 지난 6일 서울성모병원 성의회관 마리아홀과 의생명산업연구원에서 열린 학술강연회는 ‘Cutting Edge in Dentistry’를 대주제로 교정, 보존, 치주분야의 다양한 강연을 마련했다.특히 미국 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ABO) 전 회장이자 애리조나 대학 교정과 외래교수인 John Grubb을 초청해 특강을 진행하며 임상가들의 궁금증을 해결하는데 초점을 맞췄다.국윤아 주임 교수는 “이번 학술강연회가 이른 아침부터 열렸는데, 사전등록자들의 참가는 물론 현장등록까지 많은 임상가들이 몰려 강연의 관심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술강연회를 통해 학문 교류의 장을 이어가길 바란다”며 학술행사의 의미를 전했다.강연은 성의회관 마리아홀에서 교정세션이, 의생명산업연구원에서 보존 및 치주 세션이 진행됐다. 교정세션에서는 초청연자로 초대된 John Grubb 교수 강연에 이목이 집중됐다. John Grubb 교수는 ‘Orthodontics, An Artful Science’를 주제로 그가 세우고 있는 진단 및 치료
㈜신흥이 주최한 성무경(목동부부치과) 원장 초청 ‘임상보철의 이해’ 세미나가 지난달 14일부터 지난 13일까지 신흥연수센터에서 열렸다.연수회는 성무경 원장의 임상 케이스 공유하고, 임상가들의 고민사항이던 보철물 인상 채득, 보철 수복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강의는 ‘지대치 형성 : 탈락하기 쉬운 보철물에 대한 대책’, ‘인상채득, Jaw relation record 채득, 수복물 contact 조정 시 고려사항’, ‘Bite-tray를 이용한 인상 채득’, ‘Implant 수복물에서 발생하는 Contact loss의 원인과 대책’, ‘자연치 보철과 Implant 보철의 차이’, ‘수복물 Splinting 시 고려사항’, ‘Pontic, ovate pontic 형성 시 고려사항’, ‘전치부 All ceramic 수복, Dental cement의 선택’, ‘Porcelain fracture의 대책 및 보철 수복 재료 선택’, ‘All ceramic의 cementation, Zirconia이해, Zirconia를 이용한 구치부 수복’에 대한 주제가 다뤄졌다.이번 연수회는 기존에 놓치고 있던 부분에 대해 자세한 설명으로 이해도를 높였으며, 연자
올해 연세대학교치과대학 교정과학교실 동문회(회장 권병인, 이하 세정회) 심포지엄은 세정회 회원뿐만 아니라 치과교정 임상가라면 누구나 참여 할 수 있는 학술의 장으로 진행했다. 지난 20일 코엑스 컨퍼런스 홀에서 열린 Hyper-Bracket Symposium은 ‘Mini-Tube System and its Biomechanical Considerations’을 주제로 그동안의 미니튜브 연구 성과와 개선사항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는 시간으로 채워졌다.권병인 회장은 “지난해는 미니튜브를 주제로 세정회 회원들만 참가하는 심포지엄을 진행했다면, 올해는 모두에게 개방해 미니튜브 그리고 브라켓 없는 교정법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심포지엄을 주제를 Hyper-Bracket이라고 지어봤는데, 이는 브라켓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안하고 극복해나가자는 의미를 담았다”면서 심포지엄의 의미를 전했다.지난해 세정회는 Mini Tube Appliance를 주제로 개발자 4명의 임상증례를 전하며 교정치료 단계 점검부터 치료계획을 점검했고, 올해는 브라켓의 한계를 뛰어 넘는 재료의 발달 및 생역학의 발전을 통한 한계 극복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고 있는 진료방법을 살폈다.심
구강외과학회 구강암연구소(소장 오희균)가 주관하고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가 주최한 ‘2015년 구강암 테마연수회’가 지난 5일 조선대치전원 대강당에서 열렸다.이번 연수회는 ‘재발 구강암의 진단과 치료’를 주제로 구강악안면영역의 암에 대한 진단, 치료방법 및 결과에서 술 후 관리까지 임상 지견을 나누는 시간으로 진행됐다.강의는 3가지 세션으로 첫 번째 세션은 ‘구강암의 재발과 생물학적 고찰’에 대해 김옥준(전남대 구강병리학교실) 교수, 김슬기(전남대영상의학과) 교수, 정아리(조선대핵의학과) 교수가 강의했고, 팽준영(경북대) 교수는 ‘구강암의 재발의 생물학적 고찰 및 재발 진단’에 대해 소개했다.이어진 두 번째 세션에서는 정웅기·조상희(전남대 방사선종양학과) 교수가 ‘재발된 구강암의 비수술적 치료와 결과’를 주제로 강연했으며, 마지막 세션은 ‘재발된 구강암의 수술적 치료의 원칙과 경험’을 주제로 문성용(조선대) 교수, 명훈(서울대) 교수, 박주용(국립암센터 구강악안면외과) 교수, 이종호 교수가 강의했다.연수회 참석자는 “재발 구강암에 대한 조기 진단의 중요성은 물론 적절한 치료가 환자의 예후 좋은 치료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점검하는 기회였다”면서 “구강암
㈜올인원바이오의 2016년 첫 번째 세미나가 정해졌다. 오는 1월 15일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6층 합동강의실 열릴 세미나는 올해 진행됐던 주제와 같은 ‘Qray Cariview, Breathview : 예방과 진단, 트렌드를 알면 답이 보인다’로 다시 한 번 예방 진료에 대한 정보를 나눌 예정이다.이날 세미나는 캐리뷰(Cariview) 활용법과 구취측정시스템 ‘브레스뷰(Breathview)’를 소개한다. 브레스뷰는 호기가스측정기 트윈브리서(제조사:아이센랩)를 활용한 구취 진단 시스템으로, ‘생리적구취’와 ‘병리적구취’를 감별해 진단하도록 도와주는 스마트 구취측정장비다. 강의는 이병진(조선대치과병원) 교수가 초청 연자로 참석해 구취 진료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낼 예정이고, 윤홍철 원장도 강의에 나선다.올인원바이오 측은 “지난 11월, 2회에 걸쳐 진행된 세미나가 높은 호응을 얻었다”면서 “예방진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시기에 큐레이 등의 신기술을 활용한 임상 예방 프로토콜을 소개하며 치과계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 하는 시간으로 많은 관심 부탁한다”고 밝혔다.1월 15일에 진행되는 세미나는 선착순 80명을 모집해 진행되며, 등록비는 무료다. 문의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조기영)가 지난 12일 ‘12월 정기 이사회 및 차기회장 선출을 위한 확대이사회’를 개최하고 차기회장에 최성호 부회장을 선출했다.치주과학회의 확대이사회는 임기시작 1년전 차기회장을 선출하기 위해 명예회장, 직전회장, 학회임원, 감사 및 지부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현 부회장을 맡고 있는 최성호(연세치대) 교수를 출석인원 만장일치로 차기회장으로 선출했다.차기회장으로 선출된 최성호 부회장은 회원과의 소통 강화, 회원 참여 증대, 회원 권익 향상을 최우선의 과제로 삼고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히며, 대국민 홍보를 위한 ‘잇몸의 날’ 행사는 강화하고, 수명 연장에 따른 노인환자관리를 위한 정책을 개발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또한 치주질환과 전신질환과의 관계와 관련한 NCD 관련 홍보에도 주력해 공적인 학회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 학회가 진행해온 SCI 학술지 JPIS의 적극적인 지원, 수련 교육프로그램도 활성화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이어진 정기 이사회에서는 학술지 JPIS의 온라인 전환 지원, 2017년 가을 제12회 아시아태평양치주학회(APSP)를 가을 종합학술대회와 연속해 개최하는 것에 의결하고, 2016년
예측하지 않았던 수술 후 처치에 대한 구강악안면외과와 치과교정과의 임상적 견해를 들어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 진행됐다. 이 시간은 양악수술 등 술 후 빠른 시간 안에 나타나는 relapse, 이에 대한 교합적 요인에서부터 영향을 미치는 근육, 악교정 수술 후 치아이동 속도 및 구강 내 환경, 악골 변화까지 실제로 일어났던 환자 케이스를 중심으로 각 진료과별 임상가들의 의견을 공유하는데 목적을 뒀다.행사는 대한양악수술학회(회장 황순정)가 마련한 것으로 지난 12일 동계학술대회를 통해 교정 및 수술을 진행한 환자들에게서 나타난 술후 처치에 대한 증례를 공유하고 연자들의 치료방법을 공유했다.황순정 회장은 “구강외과 분야에서는 술후 처치에 대해 고민하며 의견을 나누는 시간이 처음 마련되는 것 같다 의미는 있다”고 강조하고 “이 학술대회는 술후 처치에 대해 구강외과와 교정과가 어떤 방법으로 치료해 나갈 것인지 서로 피드백을 받아보는 시간으로 ‘구강외과에서는 교정적 측면에 대한 이해도와 진료방향을 설정할 수 있고, 교정과에서도 뼈, 근육 등의 변화에 대한 포지셔닝으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학술대회의 의미를 전했다.강의는 임구영(헵시바치과) 원장이 ‘
이화의대 치과학교실이 ‘난치성악골괴사 치료연구 센터 설립 1주년’을 기념하고 이대목동병원 치과진료부 학술증대를 위한 행사를 치러냈다. 지난 13일 이대목동병원 김옥길 홀에서 열린 학술대회는 ‘치과임상, 이제 말할 수 있다’를 주제로 수면장애의 치과접근, 신경손상, 최신교정, 근관치료, 임플란트 오버덴처, 골이식재에 대한 임상적 견해를 공유했다.김선종(이대목동병원 치과과장) 교수는 “이번 학술대회는 1년 전 만들어진 난치성악골괴사 치료연구 센터 설립을 기념 하는 것과 더불어 이대목동병원 6개 전문진료과의 활발한 연구 활동을 임상적인 측면으로 알리는 시간으로 행사를 기획했다”면 이번 학술대회의 의미를 전했다.대부분의 학술대회는 다양한 주제의 구연 발표를 진행하지만만 이번 학술 행사에는 구연 발표 대신 포스터 발표로 대체해 타 치과대학의 진료 방법을 비교`연구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학술대회를 통해 듣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포스터 발표를 통해 임상적인 의견을 공유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한 방식으로 임상에 대한 정보 공유는 집담회 형식 등으로 공유해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학술대회는 김선종 교수의 ‘약물 관련 악골괴사증의
내년 2월 14일 COEX에서 열릴 제10회 샤인학술대회 '명강연 다시 듣기' 연자로 정일영 교수(연세대 치과병원 보존과 사진)가 뽑혔다. '명강연 다시 듣기'는 지난 9월 덴탈비타민에서 진행한 투표 이벤트를 통해 선정됐는데, 정일영 교수는 2014년 샤인학술대회에서 '근관치료 후 왜 아픈걸까요?'을 제목으로 스스로 만족할만한 치료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근관 치료 후 환자들이 통증을 호소하는 원인들을 상황별로 정리하고, 그 해법까지를 꼼꼼하게 제시해 참가자들의 호응을 얻었었다.따라서 이번 명강연 다시 듣기 투표에도 정 교수의 강연을 직접 들은 당시 참가자들이 많이 참여했을 것으로 보이는데, 주최 측은 다시 듣기의 취지에 맞게 내년 샤인학술대회에서도 2014년 강연과 같은 주제로 정일영 교수에게 다시 한번 강연을 부탁할 계획이다. ‘근관치료 후 왜 아픈걸까요?’는 강연제목에서 알 수 있듯 '근관 치료 후에 환자가 호소하는 통증의 원인을 진단하고, 그 해결 방법을 함께 알아보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강연 소 주제는 ▲Vertical root fracture나 cracked tooth의 감별법은? ▲재근관 치료 중에 아무 문제도 찾을 수 없는데 왜 아플까요? ▲En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회장 최종훈, 이하 구강내과학회)가 지난 6일 서울대치과병원 1층 제1강의실에서 전공의 증례 발표 및 인정의 필수보수교육을 위한 학술집담회가 진행됐다. 집담회는 ‘Advances in Oral Medicine Practice’를 주제로 턱관절질환, 수면무호흡증, 연조직 분야를 비롯해 법치의학 분야까지 다루며 학문적`임상적인 견해를 정리하고 새로운 진료 방향을 제시하는 시간을 가졌다.학술집담회 1부에서는 8명의 전공의들의 발표가 진행됐고 그 결과 최우수상은 ‘편측 교근 비대로 오인 가능한 근육 내 혈관종의 치료증례’를 발표한 이소연(경북대) 전공의가 차지했으며, 우수 발표상은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와 받지 않은 환자에서 야기된 vitamin B12결핍의 구강증상’을 발표한 김지훈(서울대) 전공의에게 돌아갔다.2부는 법의학 특강으로 신경진(연세대의대 법의학과) 교수가 연자로 나서 ‘신원확인을 위한 유전자 분석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턱관절구강내과 인정의 필수보수교육으로 진행된 3부는 심영주(원광치대) 교수가 ‘편평태선의 이해와 치료’에 대해 강의를 진행했고, 김혜경(단국치대) 교수는 ‘턱관절장애와 두통’에 대해, 정재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