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이종호)가 설립된 후 22년째 이어지고 있는 Cadaver Workshop이 올해도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회장 오희균)와 공동 주최해 지난 20일부터 22일까지 가톨릭의대 의생명산업연구원과 응용해부연구소 실습실에서 진행했다. 올해는 50여명의 참가자와 지도의 33명이 함께 참여해 구강암 및 악골괴사 등에 대한 현미경 수술 및 재건, 악교정 수술에 대한 실습을 실시했다.김욱규 구강암연구소장은 “올해가 30회 연수회를 진행하는 것으로 50여명이 참여했고, 지도의도 33명이 함께 했다. 연수회는 구강암뿐만 아니라 악교정 수술까지 다루며 구강외과 치과의사들의 임상 실력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하고 “지난해 보톡스 필러에 대한 선거공판 결과 후 임상가들의 관심이 높아져 이에 대한 교육도 고민하고 있다. 때문에 구강암 연구소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구성하고 2018년에는 보톡스 레이저 필러 부분을 실습에 포함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두 학회가 워크숍에 힘을 실어 외과적 치료가 중요하다고 여기는 부분은 여러 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아 보인다. 실제로 구강암 수술 후 심미적인 것은 물론 기능적 재건율이 70%이
대한치의학회 창립 15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가 지난 15일 서울대학교치과병원에서 열렸다. '치의학의 현재 좌표와 미래전망 (Status and Vision of Dental Science)'을 주제로 개최된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학술대회장을 맡은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이종호 이사장이 권긍록 준비위원장을 비롯한 준비위원들과 수 개월 동안 열정을 다해 이뤄낸 행사이다. 각 분야 저명한 연자들의 강연으로 구성된 임상과 기초를 아우르는 알찬 학술프로그램은 500여명의 참가자들의 박수를 받기에 충분했다. 이날 강연은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허민석 교수의 '영상유도 임플란트의 기본 개념과 활용'을 시작해 전인성 원장(서울H치과의원), 박지만 교수(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 이기준 교수(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등 열아홉 연자들의 열띤 강연으로 이어졌다. 이번 학술대회에선 'Multidisciplinary approach for the geriatrics'를 주제로 대한의학회, 대한약학회, 대한한의학회 등 의약한단체 공동심포지움도 진행됐다. 또 보건복지부 김기석 구강생활건강과장의 강연을 통해 치과계의 오랜 염원인 한국치과의료산업융합연구원 설립에 관한 복지부의 생각을 듣기도 했다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회장 서봉직, 이하 구강내과학회)가 오는 2월 4일 신흥 양지연수원에서 ‘2017년 교수`이사 동계 워크숍’을 진행한다.구강내과학회 임원진과 전국 구강내과 교수들이 함께하는 이번 워크숍은 구강내과의 어제와 오늘을 짚어보고 미래를 대비하는 토론의 시간을 갖을 예정이다.워크숍은 구강내과학회 주요 보고사항을 시작으로 ‘구강내과 미래 발전 토론회’가 이어지며, 교수협의화와 학회지와 관련한 논의와 전공의 수급 및 개원의와 관련한 논의가 이어진다.또 분과별 활동보고와 회의가 진행된다.구강내과학회 측은 “이틀간 토론 및 회의를 걸쳐 구강내과의 현안을 파악하고 구강내과학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새해를 여는 학술대회로 자리매김한 샤인학술대회가 오는 2월 11일 서울 COEX에서 개막된다. 11회째를 맞은 이번 샤인학술대회는 특히 다양하고 풍성한 학술대회로 개원가를 노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하루만 열리던 행사를 올해부턴 이틀짜리 학술대회로 과감히 확대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대회는 2월 두번째 주말인 11일과 12일, 이틀간 참가자들과 함께 하게 된다.대회를 준비하는 샤인학술위원회(위원장 성무경)도 로드가 훨씬 커졌다. 전체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세션별 시간대별로 조화롭게 배정하는 일이 만만치 않아졌기 때문이다. 위원회는 몇차례의 논의 끝에 행사 첫날인 토요일(11일)에 치과의사들을 위한 세션 1, 2와 진료스탭을 위한 세션 4을 집어넣고 둘째날인 일요일(12일)에 치과의사 세션 1, 2, 3를 배치함으로써 참가자들이 각자 필요한 강연을 선택해 들을 수 있도록 배려했다. ■ 11일(토): Session 1, 2, 4 세션 1에선 'Post core! 당신의 선택은?'을 주제로 김선영(경희대치과병원 보존과)교수와 김선재(연세대 강남세브란스치과병원 보철과)교수가 강연을 펼친다. 이번 강연에서 김선영 교수는 fiber post의
온`오프라인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덴탈빈(대표 박성원)이 오는 3월 19일 코엑스 컨퍼런스룸 401호에서 덴탈빈 론칭 심포지엄 ‘2017 It's All About 'Timing'’을 진행한다.이번 심포지엄은 디지털 서지컬 가이드, 임플란트, 보철, 교합까지 다양한 임상을 주제로 9명의 연자가 진행하는 강의가 마련된다. 박성원 대표는 “지난해 1월 회사를 설립한 이후, 오랜 준비 기간을 거쳐 9월 웹사이트를 개발해 시험 운영해왔고, 오는 3월 심포지엄을 통해 정식 론칭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덴탈빈은 치의학과 관련한 연자들과 끊임없이 교류하며, 한국 치의학 온라인 교육 전문 회사로의 방향성을 정립해왔으며, 심포지엄을 통해 임상경험을 기반으로 한 교육 정보를 제공하는 모델이 덴탈빈이라는 것을 알리는데 목적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심포지엄은 임상가들이 토론하는 형식으로 강연이 진행된다. 강의는 △디지털 임상 분야의 발전과 임상 노하우에 대해 이수영(서울라인치과) 원장과 서상진(예인치과) 원장이 연자로 나서고, △임플란트 강연에는 조용석(22세기 서울치과) 원장과 전인성(서울H치과) 원장이 ‘발치와 즉시 식립’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덴탈빈 측은 “심포지엄
“임프란트 치료의 방법은 다양하기에 다르다고 비난하지 않고, 다르다고 틀리다 생각지 않아야 한다. KAOMI가 학술대회를 통해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임프란트 치료를 통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고 재건시켜 나가는 것’, 즉 대주제 ‘The One and the Many, 화이부동’을 통한 임프란트 치료의 재조명의 시간을 갖고자 한다”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회장 여환호, 이하 KAOMI)가 오는 3월 11일과 12일 세종대 광개토관에서 ‘The One and the Many, 화이부동(和而不同)’을 주제로 2번째 국제학술대회를 치른다. 이번 학술대회 정식 명칭은 ‘제24회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 춘계종합국제학술대회 iAO 2017(24th Annual Scientific Meeting of the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Implantology iAO 2017)’으로 지난해 학술대회 보다 한 단계 도약한 모습을 보일 예정이다.여환호 회장은 “지난해 춘계학술대회에 international이란 명칭을 붙여 국제화를 모색하기 시작했다. 첫 숟가락에 배부를 수 없지만 해를 거듭할수록 국제적인 학회에 걸맞는 학술대회를
제5회 2016 샤인-덴트포토 학술상 수상자로 조상호(대구미르치과, 사진) 원장이 선정됐다. 샤인덴탈이 후원하는 '샤인-덴트포토 학술상'은 덴트포토(www.dentphoto.com)에서 1년 동안 우수한 학술 활동을 펼친 회원 가운데 매년 말 치과의사 회원들이 직접 온라인 투표를 통해 그 해의 수상자를 결정하는 권위있는 학술상이다.이번에 수상자로 선정된 조상호 원장은 지난 2003년부터 덴트포토 사이트의 임상포럼, 케이스북, 자유게시판 등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복합레진충전, 심미보철, 전악재건 증례 등을 공유해왔다. 이를 통해 오랜 기간 임상의로 고민해온 여러 가지 사례와 치료 방법들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생각을 나눔으로써 개원의들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익한 학문의 장을 만들어 온 점이 이번 선정의 결정적 이유로 꼽힌다. 조상호 원장은 "초기에는 미숙한 부분도 많았지만, 다른 실력 있는 선생님들의 지적과 조언을 통해 지금처럼 성장할 수 있었다"며, '덴트포토는 나를 한 사람의 치과의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준 좋은 도구와도 같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조 원장은 이어 "이런 활동을 통해 내가 성장할 수 있었듯 앞으로도 덴트포토가 열정을 가진 선후배, 동료
대한통합치과학회(회장 윤현중)가 지난 18일 연세대세브란스병원 은명대강당에서 정기학술대회 진행했다. 임상의들의 진료 노하우를 공유하는 시간으로 채워진 이번 학술대회는 ‘임상 trouble shooting’을 주제로 3가지 주제 발표와 수련의 구연 발표가 이어졌다.첫 번째 강의는 유준상(유치과) 원장이 나서 ‘어려운 MTA로 치료 쉽게 하기 MTA 제거술’을 주제로 개원으로서의 근과 치료의 현재를 알리고 손쉽게 MTA를 근관 내 이식하는 술식을 소개했다. 또한 자연치아살리기에 대한 유 원장의 의견도 피력했다. 이어 김성택(연세치대) 교수가 ‘이갈이 및 안면통증 환자에서 보튤리늄 독소(보톡스)의 임상적 적용’을 주제로 이갈이나 이악물기 같은 구강 악습관의 보톡스 활용을 시작으로 ‘안면부 삼차신경통’, ‘임플란트 신경손상’, ‘Gummy smile’ 등에서 보조적으로 활용되는 방법을 소개했다. 그는 또 약 값의 인하와 신제품 출시로 그 사용이 늘어갈 것으로 예측된다고 설명하고 치과 임상에서의 사용이 유용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 봤다.마지막 강의에 나선 오남식(인하대병원) 교수는 ‘Back to the Basic: 임플란트와 보철치료계획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를
대한심미치과학회(회장 임영준)가 지난 18일 코엑스 E홀에서 ‘2016 추계학술대회’를 치렀다. 그동안 심미치과학회는 임상의가 학술적으로 만족할만한 주제 강연으로 강의 집중도를 높였다면, 올해 개최한 학술대회는 개원가 치과의사들의 치료에 포커스를 맞춰 다양한 강연과 핸즈온을 실천했다. 심미치과학회 측도 “치과 임상의사의 학술적 욕구를 충족시켰다는 평을 받아왔지만 고난이도의 심미에 초점을 맞춘 강의가 개원가에는 동떨어졌다는 평을 받아 온 것이 사실”이라면서 “이번 학술대회는 개원가에 한 발짝 다가가는 계기를 만들고자 심미치료의 실제임상을 살피고 토론하며, 핸즈온을 통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노력했다”고 평가했다.심미치과학회 주제는 ‘심미치료, 누구나 할 수 있지 말입니다’로 메인 세션을 릴레이 강연으로 진행했다. 첫 번째 시간은 ‘나는 이렇게 한다’에 대해 서상진, 정찬권 원장과 김선영 교수가 구치부 Bonded Restorations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으며, 두 번째 강연은 ‘Laminate Preparation’에 대해 도한웅, 이승규, 김우현 원장이 발표했다. 세 번째 강연은 심미보철을 위한 전치재배열 노하우에 대해 박철완, 오경아, 김창환 원장이 강의에
대한인공치아골유착학회(회장 김수관, 이하 KAO)가 지난 11일 서울성모병원 지하1층 대강당에서 ‘알파고 시대 임플란트’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치렀다. KAO 측은 “이번 학술대회는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진료가 발전하면서 임플란트 치료에 대한 점검은 물론 보철 및 치주치료에 대한 견해도 공유하는 시간을 마련했다”며 학술대회 취지를 밝혔다.학술대회는 임플란트 마스터 구연발표를 시작으로 3가지 세션이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은 3D 디지탈임플란트를 주제로 이정우(경희치대) 교수가 의사가 직접 디자인하고 쓰는 임플란트 서지칼 가이드에 대해 발표했으며, 허중보(부산대치전원) 교수는 facial scan과 double scan을 통한 진화된 임플란트 보철치료를 김영택(일산병원 치주과) 교수는 3D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임상 적용의 효용성에 대해 소개했다.두 번째 세션은 임플란트 치료 한계와 극복에 대해 유상준(조선치대) 교수가 '심각한 골결손부에서 성공적인 임플란트 처치법'을 권용대(경희치대) 교수가 'Systemic disease as risk factors of dental implants'를 주제로 이어, 이성복(강동경희대병원 보철과) 교수가 좁아진 골결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