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치대(학장 김재곤) 치주과학교실 윤정호 교수<사진>가 지난 18~19 이틀간 열린 제22차 한국조직공학·재생의학회 학술대회에서 오스템카디오텍 기술상을 수상했다. 오스템카디오텍 기술상은 국내 조직공학과 재생의학의 발전과 연구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임상화 및 기술화 업적이 탁월한 학회 정회원 중에서 수상자를 선정한다. 윤 교수는 오랜 기간 치과 임플란트 및 골이식재 개발 및 임상평가와 관련된 여러 국책 연구과제를 수행해 오면서 해당 기술과 재료의 기초적인 평가를 통해 임상적용을 위한 근거를 마련해왔다. 또 이를 통해 치과 임상분야에서의 새로운 기술도입과 상용화에 기여해온 공로를 인정받았다. 윤정호 교수는 "도전적인 연구 활동을 통해 보다 혁신적인 치과 임상기술 발전을 도모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임상 치료법이 실제 치료 현장에 도입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경기도치과의사회 최유성 회장이 지난 17일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전문위원실에서 최종현 보건복지위원회 부위원장을 만나 도내 구강정책과 설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날 면담에서 최 회장은 “현재 도청 공공의료과에서 치과 관련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으나, 앞으로 초등학생 치과주치의사업과 학생구강검진, 무료 틀니사업 그리고 만성질환 관리시스템에 치과 요소를 추가하는 등의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려면 도청에도 전담부서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경기도에 구강정책과가 설치되면 추후 보건복지부 구강정책과와 예산편성 등 다양한 부분에서 협업이 가능해 보다 효율적으로 구강보건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는 국민구강건강을 지키는 데 큰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강조하고, "조만간 구강정책과 설치를 위한 토론회를 열 것"을 제안했다. 최 회장은 또 '6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초등학생 치과주치의사업'에 관해서도 “처음 시행한 2019년과 비교하면 시행착오가 많이 줄긴 했으나 여전히 크고 작은 민원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경치와 민원내용을 공유해 사업 참여 치과의사들에게 이를 지속적으로 안내하면 사업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학생구강검진
7. 12 보궐선거 후보 정견발표회는 오는 26일부터 4개 권역별로 각 1회씩 열린다. 각 후보 캠프의 동의를 받아 확정한 일정을 보면, 오는 26일 경북대 치과대학 1층 니사금홀에서 열릴 대구·경북지부 정견발표회를 시작으로, 28일엔 원광치대 대전병원 5층 대강당에서 대전·충북·충남지부 정견발표회가, 7월 2일엔 광주·전남지부 정견발표회가 그리고 7월 3일엔 서울·경기·인천지부 정견발표회가 치협 강당에서 열릴 예정이다. 아래는 권역별 일시와 장소. ■ 회장후보 정견발표회 일정 ▶대구·경북지부: 6월 26일(토) 오후 4시 / 경북대치과대학 1층 니사금홀 ▶대전·충북·충남지부: 6월 28일(월) 오후 7시반 / 원광치대 대전병원 5층 대강당 ▶광주·전남지부: 7월 2일(금) 오후 7시반 / 장소 미정 ▶서울·경기·인천지부: 7월 3일(토) 오후 3시 / 협회회관 5층 강당
치매 전문 디멘시아도서관이 최근 용인시 ‘작은도서관’으로 등록했다. ‘작은도서관’이란 지역 주민들이 생활 주변에서 편리하게 책을 볼 수 있도록 돕는 민간주도의 독서 문화공간을 말한다. 치매 관련 도서를 중점적으로 수집해서 제공하는 디멘시아도서관은 환자와 가족들의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올봄 개관했다. 이후 지역 주민들에게 치매서적과 교육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함께 치유와 희망을 북돋는 공동체 형성에 이바지하기 위해 ‘작은도서관’으로 등록 운영해오고 있다. 디멘시아 이전엔 치매환자와 가족들이 관련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지속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여건은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환자와 가족들이 혼란스럽고 그릇된 정보에서 벗어나 바른 치료와 돌봄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가 수록된 책과 자료들을 수집하기 시작한 것. 이 도서관은 현재 치매의 역사, 예방, 진단, 치료, 재활프로그램, 돌봄, 연구, 보건의료 정책과 제도, 환자와 가족의 체험수기, 문학 작품에 이르기까지 치매에 관한 내용을 망라해 필요한 사람들과 나누고 있다. 도서관 관계자는 “치매환자와 가족들의 자조모임과 소통에 구심점이 될 수 있도록 운영하겠다"면서 "서로의 마음을 보듬을 수 있는 프로그램
연세치대 전우석, 조정민 졸업생이 재학 기간 중 박원서, 신유석 교수와 함께 참여한 논문 ‘Access Opening Guide Produced Using a 3D Printer (AOG- 3DP) as an Effective Tool in Difficult Cases for Dental Students’가 Journal of Dental Education (Impact factor : 1.322)에 게재됐다. 이 연구는 근관치료 시 3D printer로 제작된 access opening guide(이하 '3DP-AOG')를 이용해 access opening 시간과, 과도한 삭제 방지에 대한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됐는데, 먼저 근관치료의 access opening시 삭제돼야 할 pulp roof의 정확한 너비와 깊이, canal의 위치 등을 사전에 계산해 CAD로 디자인한 뒤 3D printer로 제작, 3DP-AOG를 통한 access opening 시간과 치아 삭제량을 측정했다. 연구에 참여한 전우석, 조정민 학생은 “원내생 진료실에서 진료했던 근관치료를 3D printing 기법을 이용해 조금 더 손쉽게 해보면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에서 시
중앙방역대책본부는 6월 18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84명, 해외유입 사례는 23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50,238명(해외유입 9,453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6,212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8,961건(확진자 73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374건(확진자 2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68,547건, 신규 확진자는 총 507명이다. 시도별로는 서울 197명, 부산 9명, 대구 11명, 인천 21명, 광주 1명, 대전 12명, 울산 11명, 세종 1명, 경기 151명, 강원 9명, 충북 19명, 충남 7명, 전북 3명, 전남 4명, 경북 10명, 경남 12명, 제주 6명이며, 해외유입은 검역단계에서 10명, 지역사회에서 1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787명으로 총 141,816명(94.39%)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6,426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49명, 사망자는 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996명(치명률 1.33%)이다. 백신접종은 약간 속도가 무뎌지긴 했지만 대체로 순조로웠다. 17일 하루동안 412,987명이 접종을 받은 것. 이
기호 3번 박태근 후보가 지난 17일 서울 소재 3개 대학 학장 및 병원장을 찾아 환담했다. 박 후보의 대학 순방은 현장에서 치과계 현안에 대한 의견과 조언을 구하는 차원에서 이뤄졌는데, 서울대 권호범 학장과 구영 병원장, 경희대 황의환 병원장, 연세대 김의성 학장과 일정을 맞출 수 있었다. 박태근 후보는 "많은 격려와 조언을 얻은 소중한 자리였다"며, '바쁜 시간을 쪼개 주신 네 분'께 감사를 표했다. 캠프 측은 '경희대 정종혁 학장과 연세대 심준성 병원장은 휴가 중이어서 다음을 기약했다'고 전했다.
기호 2번 장은식 후보가 오는 19일(토) 오후 3시 제주시 1100로 3351 3층에서 선거사무소 개소식을 갖는다. 이번 치협 보궐선거에 출마한 장 후보는 제주도치과의사회에서 치무이사, 총무이사, 감사를 거쳐 현재 회장으로 활약하고 있으며, 제주시치과의사신협, 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제주지부에서도 주요 이사로 활동했었다. 이번 선거에선 보험규모 확대, 협회장 상근제 폐지, 단체협약 재협상, 치과신기술 지원, 계파주의 극복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개소식은 코로나 상황을 감안해 최소인원만 참석한 가운데 진행하고, 유권자들에겐 사진과 동영상으로 소식을 전할 예정이다. ■ 장은식 후보 선거캠프 구성 ▲공동선거본부장: 부용철(제주도 23대 회장, 경희치대 8회), 부기은 (제주도 24대 회장, 조선치대 2회), ▲선거사무장: 강철흔(전북치대 13회), ▲선거공보이사: 김대준(단국치대 6회), ▲선거법제이사: 현승돈( 조선치대 21회)
시린메드 치약으로 잘 알려진 부광약품이 백신 접종 후 해열 및 통증 완화를 위해 사용하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제품인 타세놀 제품군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원활한 공급에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코로나 백신 접종과 함께 백신 상비약으로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제에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부광약품에서 제조하는 아세트아미노펜 제품인 타세놀을 공급받기 위한 약국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부광약품은 타세놀 제품군의 모든 제조공정을 직접 자사 공장에서 수행하고 있으나, 코로나 백신 접종에 따라 소포장의 경우 공급에 비해 시장의 수요가 월등히 높은 상황이다. 부광약품 관계자는 "코로나 시대에 꼭 필요한 약제인 타세놀 제품군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자사 공장의 생산역량을 타세놀 제품군에 우선해 집중하는 등 공급속도 향상을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타세놀'은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성분 제제로 무카페인, 무색소 제품으로, 부광약품에서 직접 생산, 판매하고 있다. 빠른 증상완화에 집중된 속효성 제품인 타세놀정 500mg과, 빠른 증상완화와 더불어 지속효과까지 있는 이중서방형의 타세놀8시간이알 서방정 2가지 제품군으로 구성되어
어제 하루도 54만여 명이 백신접종을 받았다. 이 가운데 280,928명이 접종을 완료해 누적 접종완료 인원은 3,755,040명으로 늘어났다. 이는 인구대비 7.3% 수준이다. 1차접종인원은 13,790,841명(26.9%). 7월 1일부터 시행될 해외 예방접종완료자 격리면제와 관련해서도 정부는 대상자를 보다 구체화했다. 관광 등 비필수 목적을 위해 입국하는 해외 예방접종완료자는 격리면제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것. 즉, 해외에서 예방접종을 완료했더라도 중요사업상 목적, 학술 ‧ 공익 목적, 인도적 목적(장례식 참석, 국내 거주하는 직계가족 방문), 공무국외출장 목적에 해당되는 경우에 한해 격리면제가 가능하다. 정부는 이와 관련 "이번 격리면제서 발급기준에 새롭게 추가된 ‘직계가족 방문’의 경우, 펜데믹으로 인해 타국에서 오랜기간 부모님을 찾아뵙지 못하는 애로사항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한 조치로, 우선 직계가족부터 격리면제를 적용하고 향후 입국규모, 입국자 확진율 등 국내 방역에 미치는 상황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이를 형제자매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는 다시 5백명대로 늘어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7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