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오늘의 영화

[영화] 레드포드를 추모하기 위한 '세편의 영화'

'내일을 향해 쏴라', '스팅' 그리고 '흐르는 강물처럼'

 

배우 '로버트 레드포드'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1936년 캘리포니아 산타모니카에서 태어나 배우이자 감독으로, 환경운동가이자 인디 영화의 수호자로 89년의 삶을 살다 지난 16일 영면에 든 것입니다. 하지만 스크린 속에서 그는 여전히 빛납니다.
젊은 날의 레드포드를 떠올리면 인생의 막다른 골목에서 내일을 향해 뛰쳐 나가던 청춘의 얼굴이 가장 먼저 스칩니다. ‘Butch Cassidy and the Sundance Kid’에서의 그는 단순히 총을 든 반항아가 아니라 낡은 질서를 벗어나 자유를 좇던 시대의 상징이었습니다. 불안과 갈망을 동시에 품은 그의 눈빛은 그 시절 관객들의 가슴을 휘저어 놓았습니다.
이후 ‘스팅’에서 그는 전혀 다른 얼굴을 보여주었습니다. 폴 뉴먼과의 세기의 콤비 플레이에서 레드포드는 젊고 날렵한 사기꾼을 연기했지만, 거기엔 단순한 속임수 이상의 매력이 있었습니다. 반전의 묘미로 가득한 이야기 속에서도 그의 연기엔 동료를 향한 믿음과 삶을 버티게 하는 우정의 힘이 배어 있었고, 도무지 연기같지 않은 웃음 하나만으로 관객들을 안심하게 만들었습니다. 이 영화가 아카데미 작품상을 받을 즈음, 레드포드는 할리우드의 아이콘으로 확고히 자리잡게 됩니다.
직접 감독을 맡은 ‘흐르는 강물처럼’은 레드포드가 남긴 가장 서정적인 영화입니다. 목사의 집안에서 성장하는 두 형제의 이야기를 통해 그는 강물처럼 흘러가는 시간과 그 속에서 어쩔 수 없이 마주하는 사랑과 상실, 화해와 이해를 담담히 보여주었죠. 자연을 배경으로 인간의 내면을 비추는 그의 카메라에는 과장도, 미화도 없었습니다. 그저 강물 위를 흘러가는 빛처럼 조용히 그리고 깊이 관객들의 내면에 스며들 뿐이었습니다.

 

 

레드포드의 삶은 영화 속에만 머무르지 않습니다. 그는 선댄스 영화제를 세워 젊은 영화인들에게 무대를 열어주었고, 환경 문제와 원주민 권리 같은 사회적 의제에도 꾸준히 목소리를 냈습니다. 할리우드의 스타이자 동시에 생활인으로서, 그는 단순히 성공의 궤적만이 아니라 삶의 무게와 책임을 함께 짊어진 사람이었습니다.
말년의 레드포드는 화려한 무대에서 한 발 물러나 있었습니다. 2018년작인 ‘The Old Man & the Gun’을 마지막으로 그는 스크린보다는 자연과 예술, 그리고 가족과의 시간 속에 더 오래 머물렀습니다. 올 초 TV 시리즈 ‘Dark Winds’에 짧은 카메오로 나와 팬들에게 마지막 인사를 건넸지만, 그건 이미 한 세대를 마무리하는 은유 같은 장면이었습니다. 그는 캘리포니아의 집을 정리하고, 유타와 뉴멕시코 같은 자연이 가까운 곳에서 조용히 시간을 보냈습니다.
이제 우리는 내일을 향해 기꺼이 총을 겨누던 청춘, 반짝이는 웃음으로 인생을 연기하던 풋내기 사기꾼, 흐르는 강물 위 시간을 관조하던 한 인간의 목소리를 스크린 속에서만 만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을까요? 영화가 끝난 뒤에도 가슴에 남는 긴 여운 같은, 그것이 바로 '로버트 레드포드'라는 이름의 또 다른 의미일 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