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30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최상묵 칼럼

"충고보다는 강하게, 명령보다는 약하게"

[최상묵의 NON TROPPO]-<22>

  

 

20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의사란 직업이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위치와는 거리가 먼 비천한 직업으로 인정되어 왔었다. 그런 인식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같은 현상이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동의보감의 저자인 허준의 일대기를 보면 전의가 되기 전까지는 노예계급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었다. 그 당시는 의료에 종사하는 일은 전망이 없었고, 실제 노동자 계급보다 수입면에서도 월등히 낮은 실정이었다.

 

요즈음에서 사람들이 보다 좋은 건강과 복지를 찾게 되면서 의사들의 지위도 높아지고 존경을 받으면서 세력과 권위가 막강해지는 위치로 바뀌기 시작한 것이다.

의사라는 전문직 자체가 남다른 설득력을 가지게 되고 권위자임을 자처해도 모두가 믿고 인정하게 마련이며, 그 신뢰의 바탕으로부터 특권의식을 향유하게 된 셈이다. 따라서 의사들은 대중의 건강증진에 노력한다고 자부하면서 한편으로는 자신들의 권력을 배양하고 또 자율성마저 보장받으면서 권위와 경제적 여유는 물론 정치적인 힘마저 구축해 온 특이한 집단으로 사회 속에서 군림하고 있다.

 

현대의학은 전문지식과 기술 그리고 규범들이 조화롭게 잘 어우러진 정교하고 이성적인 조직치계임에 틀림없다. 또한 현대의술을 인류를 질병으로부터 구제하는데 상당한 공헌을 한 업적에 대한 보상을 받는 것에 주저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의사들에게 권력과 권위가 주어지는데는 아무런 저항이 있을 수가 없는 것이다.

물론 그 권력과 권위에 대한 근거는 합리적인 생각으로는 납득할 수 없는 부분도 없지 않다. 즉 다소 맹목적인 경향이 있다는 뜻이다.

 

의사들이 지금의 위치로 만들기까지는 많은 시련과 노력이 자기 조직 안에서 이루어진 결과인 것은 틀림없다. 의료전문직의 권위를 인정받기 위한 노력은 어떤 다른 조직 보다 엄격하고 치열한 부분이 많았다.

표준화된 교육에 의한 남다른 지식의 함양과 자격 검정에 의한 면허 제도를 통해서 일정수준의 자격을 갖추는 제도적 장치를 만들었고, 의료시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직적 계층과 연대하고 또는 장악하면서 보건의료를 상품화 시킨 성과는 의학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적 변화라 할 수 있다.

 

의료의 상품화는 일반 시장원리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한 차원 높은 행동규범을 설립하여 의사 자신들이 정해 놓은 규범에 따라 시행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의사들이 권위가 신장됨에 따라 의료시장은 활성화되기도 하고 침체되기도 하는 이중적인 성격을 보인다. 의사들의 문화적 권위가 높아지면서 전문적 서비스 영역으로 분할시키며(전문의: specialist) 수요를 늘리고 공급을 조절하는 시장원리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권위와 보상을 얻게 만들기도 했다.

일반 시장이론은 소비자(환자)가 선택에 대한주권을 가지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의학시장에서 사뭇 다른 점이 있다. 의사들에 대한 환자들의 신뢰(믿음)가 기본 구매자의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자유시장원리인 구매자에 대한 자유로운 선택권이 주어지지 않으며 구매자는 의존하고 선택 받아지길 바라는 시장 원리가 된다.

 

사회가 의사의 권위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이유는 사람이 생활하는데 의학의 실존이나 가치가 얼마나 정당하고 진실한가를 판가름한 후에 내려준 결정이기 때문에 일종의 문화적 혁명이며 또한 문화적 권위(cultural authority)라 불러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의사들은 때로는 문화적 권위를 넘어선 사회적 권위에 매료 되어지는 경우도 많이 있다(사회적 권위라나 어떤 명령을 통해서 행동을 통제하려는 권위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의사들이 간호사나 진료보조인력 또는 의료종사자들에게 그들의 행동을 규제하고 간섭하려는 본능적인 권위를 버리지 못하고 있다.

 

환자들에 치료행위를 하는 과정에서는 무심결에 주종관계를 내세우는 사회적 권위가 발동되는 경우는 매우 허다하다. 권위란 믿음과 복종을 강요할 수 있는 일정한 신분, 자질, 자격을 가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의사의 권위가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그들의 지식과 능력이 속해 있는 전문가 집단에 의해서 인정되어져야 할 것이며, 그 지식과 능력은 합리적이고 과학적 근거가 있어야 하며 의사의 판단과 행동은 건강이라는 실질적 가치와 도덕적 덕목을 구비해야 하는 전제조건하에 인정되는 권위가 되어야 한다.

 

환자가 의사의 권위를 받아들인다는 뜻은 자신의 개인적인 판단의 권리를 의사에 넘겨준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권력의 세계에서 권위를 행사하려고 할 때 반항하는 자에게 권위를 행사하려고 할 때 반항하는 자에게 무력을 행사하듯이 권위에 복종하는 사람에게 권위가 지니고 있는 근거를 제시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의학적 권위가 가지고 있는 특징이고 잇점일 수도 있다. 때로는 의사의 판단이나 지시를 권위를 받아들이면서도 시행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담배를 끊고, 체중을 줄여라, 이를 열심히 닦으세요같은 의사의 말을 확실히 근거가 있는 지시인데도 환자들은 시행을 못하는 경우도 있게 마련이다.

의사가 환자로부터 권위를 인정받지 못하게 되면 어떻게 되는 것일까? 상상해볼 수도 없는 비극일 뿐이다. 의사의 가장 권위 있는 말은 조언보다는 강하게, 명령보다는 약하게!”.

 

 

글: 최상묵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덴틴 발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