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 제65회 종합학술대회가 10월 25~26 양일간 오스템임플란트 마곡 사옥에서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회원과 전공의, 외국 치의 등 550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치주치료 전문가를 위한 네 번의 기회(Four opportunities for experts in periodontal treatment)’를 주제로 열린 이번 대회는 ▲창의성(Creativity) ▲효율성(Efficiency) ▲일관성(Consistency) ▲끈기(Tenacity)를 치주치료 전문가의 네 가지 핵심 가치로 정의하고, 이를 심도 있게 다루는 네 개의 심포지엄으로 구성됐다. 특히 일본, 호주, 몽골, 인도, 중국, 베트남, 터키 등 해외 연자와 참가자가 다수 참여해 K-치주학의 국제적 경쟁력을 보여줬다.
첫날 오전에는 전국 수련기관 전공의들이 참여한 임상·연구 구연 발표가 진행됐다. 국제화의 일환으로 일부 세션은 발표와 질의응답이 영어로만 진행돼 높은 호응을 얻었다.
오후에는 개막식에 이어 심포지엄 1, 2가 연속으로 개최됐다. '심포지엄 1: 새로운 선택의 기회'(창의성)에서는 ▲김남윤 원장(김남윤치주과치과의원)의 성공적인 환자 관리를 위한 심리적 접근 ▲이재홍 교수(전북대)의 AI 기반 치주질환 원격 스크리닝 ▲이중석 교수(연세대)의 환자가 원하는 치주 치료의 핵심 요인 등이 발표돼 진료 패러다임의 변화를 제시했다.
이어진 '심포지엄 2: 선두가 될 기회'(효율성)에서는 ▲조영단 교수(서울대)의 불리한 치조골 환경 극복 전략 ▲박병규 원장(서울필치과의원)의 간소화된 경조직 증대술 ▲정의원 교수(연세대)의 연조직 증대술 최소침습 기법 등 임상 중심의 실질적 강연이 이어졌다.
 
둘째 날 오전에는 두 세션이 동시에 열렸는데, ‘Young Speaker & International Speaker Session’에선 일본·몽골 연자와 함께 ▲한희승 교수(고려대)의 임플란트 주위염 예방 연구, ▲양건일 교수(조선대)의 가이드 임플란트 식립 정확도 향상 전략 등 젊은 연구자의 활발한 발표가 이어졌고, ‘Inspiration and Recognition Session’에서는 강대영 교수(단국대), 송영우 교수(중앙보훈병원), 윤정호 교수(전북대), 조영단 교수(서울대)가 임플란트 예후와 재생치료 관련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
오후 대강당에서 열린 '심포지엄 3: 지속적 선두유지의 기회'(일관성)에선 ▲김윤정 교수(관악서울대치과병원)의 임플란트 유지관리 프로토콜, ▲송영우 교수의 진료 접근이 제한된 환자 대상 치료 전략, ▲변수환 교수(한림대성심병원 구강악안면외과)의 흡수된 치조제의 현실적 대안 등이 다뤄졌다.
대회의 대미를 장식한 '심포지엄 4: 역전의 기회'(끈기)는 두 파트로 나뉘어 진행됐다. Part 1에서는 ▲민경만 원장(서울메이치과의원)의 치주조직 재생치료 ▲정철웅 원장(광주 첨단미르치과병원)의 무치악 치조제 보강 ▲이성조 교수(단국대)의 GBR·iGBR·Transmucosal GBR 비교 강연이 진행됐다. Part 2에서는 ▲박영범 교수(연세대 보철과)의 예지성 있는 수복 전략 ▲신수정 교수(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보존과)의 자연치아 살리기 ▲박진영 교수(연세대)의 치은 퇴축 치료의 한계 도전 강연이 이어지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어진 정년기념 특강에서는 ▲최성호 교수(연세대)의 '치주과 의사의 리더십 여정'과 ▲구영 교수(서울대)의 '치주학 40년, 나의 관점'이 청중들의 큰 박수를 받았다.
이날 정오에 열린 ‘가치공감 토크콘서트’도 큰 호응을 얻었다. 이 시간은 학부생·인턴·공보의를 대상으로 선배 치주과 의사들이 자신의 진료 경험과 진로 조언을 나누는 자리인데, 강연장을 가득 메운 참석자들과 자유로운 질의응답으로 진행된 이번 프로그램은 후배 세대의 진로 탐색에 실질적 도움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대회를 마치면서 설양조 회장(서울대 치주과학교실)은 “이번 학술대회는 프로그램 구성부터 장소 선정까지 회원들의 참여와 실질적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진행했다”면서 “회원들이 치주과학회의 일원으로 자부심을 느끼고, 학회의 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됐길 바란다”고 말했다.
종합학술대회 이후 치주과학회는 ▲온라인 심화교육과정(11월 5일~12월 3일, 매주 수요일), ▲중부지부 집담회 (11월 4일, 단국대학교 연송홀), ▲광주·전남지부 집담회 (11월 7일, 전남대치과병원 평강홀), ▲대구·경북지부 집담회 (11월 7일, 경북대치의학전문대학원 강당), ▲부산·경남지부 집담회 (12월 11일, 부산시치과의사회관 대강당)를 각각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 마지막 행사인 제64차 정기총회 및 제3차 학술집담회는 12월 23일(화)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강당에서 열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