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개원가

11월9일은 구강내과학회 제정 '턱관절의 날'

심평원 '턱관절장애 환자 수 빠르게 증가, 작년 39만명'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회장 전양현)가 11월 9일을 ‘턱관절의 날’로 제정했다. 인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턱관절 관련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면서 최근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인데, 학회는 앞으로 이 날을 기해 턱관절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알리고, 홍보도 할 계획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7년 한해동안 턱관절장애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총 39만명으로, 최근 5년 동안 턱관절장애 환자 수는 24%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턱관절 장애란 아래턱뼈, 머리뼈, 그 사이의 턱관절 관절원판(디스크), 인대, 주위 근육 등에 구조적 또는 기능적 문제가 발생한 경우를 통칭한다. 양측 귀 앞에 존재하는 턱관절에 문제가 생길 경우, 씹고, 말하고, 침을 삼키고, 하품을 하는 일상적 행위가 불편해지거나 통증 등으로 어려워 질 수 있다. 더욱이 턱관절 장애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기분장애, 수면장애, 영구적인 안면 비대칭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는 필수적이다.

 


턱관절장애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진 않으나 식사, 하품, 노래부르기, 혹은 장시간의 치과치료로 인한 오랜 개구상태나 턱관절의 과도한 사용 등의 이유로 나타날 수 있다. 또 아래치아와 윗치아의 부정교합, 골격이상, 나쁜 습관(이를 악무는 습관, 이갈이, 입술, 손톱, 연필 물어뜯기, 자세불량)이나 스트레스, 불안, 긴장, 우울 등의 심리적 원인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턱관절장애는 특정 직업군에 많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한국인의 직업 분류에 따른 턱관절장애 분포 조사에 따르면, 교사, 상담원 등 업무상 말을 많이 하는 직업군과 경찰, 소방 등 공공서비스 종사자들에게서 발생율이 높게 나타났다.
서울대치과병원 구강내과 조정환 교수는 “안면부의 과도한 긴장감을 야기하거나 턱에 무리가 가는 자세를 반복하는 직업군에서 턱관절 장애가 특히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해당 직업군에 종사하는 분들은 늘 관심을 가지고 관리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안면부의 과도한 긴장감이 주요 원인

 

'턱관절의 날' 제정을 기념해 구강내과학회는 소방대원들을 서울대치과병원으로 초청해 치료하기도 했다. 이번 기회에 턱관절장애와 이갈이 치료를 받고 있는 용산소방서 김경학 소방장(49세)은 “업무 특성상 긴장감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아서 인지 언젠가부터 이악물기와 수면 중 이갈이가 심해져 병원을 찾았다”고 말했다.
턱관절 장애의 치료는 턱관절에 무리를 주는 나쁜 습관의 개선, 물리치료, 운동요법 등과 함께 약물요법, 교합안정장치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법을 먼저 시행한 다음 필요에 따라 악관절가동술, 관절 내 주사, 바이오피드백, 발통점에 대한 주사 등을 사용하는데, 치료 후 교합조정이나 보철 및 교정치료 등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교합안정장치(스플린트)는 아래턱이나 윗턱의 모든 치아를 덮는 틀니와 유사한 장치로 턱관절, 근육, 치아를 보호하고 턱관절과 교합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교합안정장치는 턱관절이 안정되고 증상이 개선되는 수개월 동안 주기적으로 담당 치과의사에게 조정을 받아야 한다.
만일 비수술적 치료법이 효과가 없거나 턱관절의 구조적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법(관절경수술 및 관절성형수술 등)을 시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외과적 수술을 받아야 할 환자는 전체 턱관절 장애 환자의 5% 이내로 보고 있다.

 

 

초기에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

 

턱관절장애는 치료도 중요하지만 미리 예방하거나 초기에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갈이, 이악물기, 손톱 물어뜯기, 편측저작, 껌 씹기, 턱 괴기, 턱을 앞으로 내밀거나 계속 움직이는 습관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습관들은 턱관절 장애를 진행시키고, 두경부 근육을 피로하게 하여 통증을 증가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스트레스는 저작근을 포함한 두경부 근육을 지속적으로 수축시켜 턱관절 장애 외에 두통 등의 추가적인 문제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필요하다.

습관이나, 스트레스, 긴장 등의 이유로 평소 무의식중에 위, 아래 이가 맞물려 있다면 반복해서 얼굴에 힘을 빼줌으로써 턱관절과 근육이 편안하게 있을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유발하는 습관이나 스트레스, 긴장 등을 줄이려고 노력하는 것이 좋다. 또한 턱을 옆으로 틀면서 씹게 하는 질기고 딱딱한 음식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조정환 교수는 “턱관절장애는 치료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초기에 정확한 진단과 올바른 치료를 받는다면 환자의 약 80%는 완쾌되거나 거의 완쾌될 수 있으며, 턱관절장애의 치료가 올바르게 이루어진다면 일부 환자의 경우 두통을 포함한 목, 어깨의 동통 등 기타 증상도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구강내과 전문의를 찾아 진단을 받아 봐야 하는 경우

▶입을 벌리거나 다물 때 귀 앞 턱관절 쪽에서 소리가 나거나 통증이 느껴진다.
▶입을 벌렸다 다물 때 양쪽의 움직임에 차이가 있는 것 같다.
▶귀속이나 귀 주위, 관자놀이 또는 뺨 근처가 뻐근하거나 아프다.
▶입을 최대로 벌렸을 때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손가락 3개가 들어가지 않는다.
▶침을 연속으로 삼키기 힘들다.